경제·금융 재테크

기준금리 인상에…은행권, 앞다퉈 수신금리 올린다

하나은행, 내일부터 최대 0.3%포인트↑

농협은행도 다음주부터 최대 0.4%포인트↑

일각선 예대금리차 공시제 도입 효과 해석도

서울경제DB서울경제DB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오전 기준금리를 0.25%p 올리면서 시중은행들도 앞다퉈 예적금 금리 인상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스타트를 가장 먼저 끊은 곳은 NH농협은행이다. 농협은행에 따르면 거치식예금 금리는 0.25%포인트, 적립식예금 금리는 0.25~0.40%포인트 상향 조정한다. 시행일은 다음 주 첫 영업일인 29일(월요일)부터다.



곧이어 하나은행에서도 낭보가 전해졌다. 하나은행은 예적금 등 총 26개(예금 8종, 적금 18종) 수신상품의 금리를 최대 0.30%포인트 인상키로 했다. 당장 26일부터 바뀐 금리가 적용된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 및 주거래하나 월복리 적금의 경우 1년 만기 기준 최고 3.70%에서 3.95%로, 3년 만기 기준 최고 4.0%에서 4.25%로 각각 0.25%포인트씩 인상된다.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비교적 고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369 정기예금 1년제의 경우 기본금리가 0.30%포인트 인상돼 최고 3.10%의 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금리 상승에 발맞춰 하나은행을 이용하는 손님의 자산증대에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자 수신금리를 인상하게 됐다”며 “향후에도 시장상황을 세밀하게 모니터링하며 손님 중심의 금리 정책을 운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리은행 등 나머지 대형 은행들도 예적금 금리 인상 수준과 인상 시기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이런 발 빠른 움직임을 두고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 공시제 도입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은행연합회는 22일부터 전월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를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저축성수신금리는 △하나은행 3.08% △KB국민은행 2.98% △신한은행 2.95% △우리은행 2.82% △농협은행 2.54% 순이었다. 하나은행은 1위 사수를, 농협은행은 탈꼴찌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축성수신금리는 정기 예적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및 CD·금융채 등 시장형금융상품의 가중평균금리다. 다만 저원가성 핵심 예금인 요구불예금 및 수시입출식 예금 등은 제외된다.


유현욱 기자·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