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尹 친서 들고 몽골간 박진 "희토류 등 공급망 협력 강화"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후 첫 방문

대북정책 지지·건설적 역할도 당부

한몽 외교장관회담차 몽골을 방문한 박진 외교부 장관이 28일 냠도르지 앙흐바야르 몽골 외교부 사무차관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사진제공=외교부한몽 외교장관회담차 몽골을 방문한 박진 외교부 장관이 28일 냠도르지 앙흐바야르 몽골 외교부 사무차관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사진제공=외교부




박진 외교부 장관이 바트뭉크 바트체체그 몽골 외교장관과의 회담을 위해 28일 출국했다. 한국 외교장관의 몽골 양자 방문은 2014년 이후 8년 만이다. 미중 전략 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미러 갈등 상황에서 몽골의 전략적 가치가 부각되고 있는 만큼 몽골과의 ‘가치 외교’를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박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의 친서도 우흐나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박 장관은 이날 출국 전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한국과 몽골이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후에 첫 외교장관 방문”이라며 “몽골은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요충지이며 민주주의와 인권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나라로 한국과 몽골 간의 가치 연대를 강화해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광물·희토류 등 세계 10대 자원 부국인 몽골과의 공급망 안정화·다변화를 위한 협력을 심화해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박 장관은 △한·몽골 간 가치 연대 강화 △경제안보 분야 실질 협력 강화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안정을 위한 협력 강화를 이번 몽골 방문의 주요 목적으로 꼽았다.

박 장관은 “남북한 동시 수교국인 몽골을 대상으로 담대한 구상 등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지지와 건설적 역할을 당부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박 장관은 울란바토르에 도착해 ‘몽골의 슈바이처’로 불린 독립운동가 이태준 선생 기념공원에 헌화하는 것으로 2박 3일의 몽골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현지 학계 및 전문가, 재몽골 교민 및 기업인들과의 간담회에 이어 다음 날 바트체첵 장관과 회담한 뒤 후렐수흐 대통령 등을 예방한다.

한편 몽골은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자리한 민주주의 국가로 희토류 등 지하자원이 풍부해 공급망 재편 등 경제안보 관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올 4월에는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7월에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이달에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잇따라 몽골을 찾았다.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도 지난주 몽골을 방문한 뒤 방한 했다. 박 장관이 5월 취임한 후 미국·일본·중국에 이은 네 번째 양자 외교 방문국으로 몽골을 택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