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림을 대표하는 성균관유도회총본부가 추석을 앞두고 차례상에는 9가지 정도의 음식을 올리면 충분하고 전(煎)은 부치지 않아도 된다고 공식 권고했다.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인 최영갑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차례상 표준화 방안’을 발표했다. 표준안에 따르면 간소화한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적·炙),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 육류, 생선, 떡을 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하지만 가지 수가 적어도 상관 없고 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성균관 측은 “예의 근본정신을 다룬 유학 경전 ‘예기(禮記)’의 ‘악기(樂記)’에 따르면 큰 예법은 간략해야 한다(대례필간·大禮必簡)고 한다”며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했다.
또 성균관 측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노력과 시간을 쏟으며 고생했던 전(煎) 부치기를 더는 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에 나온다. 밀과나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라고 했다고 성균관 측은 소개했다.
그간 차례상을 바르게 차리는 예법처럼 여겨왔던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 관련 옛 문헌에는 없는 표현으로, 상을 차릴 때 음식을 편하게 놓으면 된다고 했다. 이 밖에 조상의 위치나 관계 등을 적은 지방(紙榜) 외에 조상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되며, 차례와 성묘의 선후(先後)는 가족이 의논해서 정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차례는 조상을 사모하는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데 이로 인해 고통 받거나 가족 사이의 불화가 초래된다면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것”이라며 “이번 표준안 발표가 경제적 부담은 물론 남녀갈등, 세대 갈등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차례를 지내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바랐다.
성균관 측은 이번 표준안을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와 예법 등을 두루 고려해 마련했다고 밝혔다.
성균관 측이 지난 7월 28∼31일 20세 이상 일반 국민 1000명과 유림 700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40.7%)과 유림 관계자(41.8%) 모두 차례를 지낼 때 가장 개선돼야 할 점으로 차례상 ‘간소화’를 꼽았다. 차례를 지낼 때 사용할 음식의 적당한 가짓수로는 국민 49.8%가 5∼10개, 24.7%가 11∼15개를 꼽았다. 유림은 35.0%가 11∼15개, 26.6%가 5∼10개를 적당한 가짓수로 봤다.
현재 몇 대 조상까지 차례를 지내는지 묻는 말에 국민과 유림 모두 조부모(2대 봉사)라는 답이 각각 32.7%, 39.8%로 가장 높았다. 적당한 차례 비용으로는 국민은 10만 원대(37.1%), 유림은 20만 원대(41.0%)를 꼽은 경우가 많았다.
-전통 차례주 대신 와인이나 커피로 차례를 지내고, 혹은 물을 술잔에 채워 상차림 하는 것은 어떤가요?
△술은 모든 음식의 정수(精髓·가장 뛰어나고 중요한 음식)라서 술을 올리시는 것을 권장하지만, 기제사와 같이 조상을 공경하는 마음을 갖고 정성으로 차례상을 준비하신다면 뜻풀이 그대로 술 대신 찻물을 올려도 좋고 정화수도 술 대신 올려도 좋을 듯 합니다.
-전통 제례의 격식을 떠나 고인의 살아 생전에 즐겨 드시던 밥과 김치, 토마토, 과자 등으로 차례상을 차려드리고 싶습니다. 예법이나 격식은 어떤가요?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 (사계 김장생) 보면 ‘살아 계실 때 먹지 않았던 물품으로는 제사 지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해 주신 기록이 있습니다. 고인께서 생전에 즐겨 드신 음식을 올리는 것이 예법에 어긋났다고 할 수 없습니다. 뿌리를 생각하시는 여러분의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차례상을 준비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술을 다른 것으로 대체하고 테이블 위에 사과·배·감과 송편 등 3~4가지 음식만으로 차례상을 차리고 싶은데 괜찮을까요?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 (사계 김장생)에 의하면 6가지 과일을 갖추기가 어려우면 줄여서 쓸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제시하는 표준 차례상은 과일과 침채, 나물(숙채), 적, 송편(절식)으로 9가지 음식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제례문화 관련 인식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국 만20세 이상 성인남녀를 상대로 한 결과는 5~10개의 가짓수가 (49.8%) 가장 많았고, 유림관계자를 상대로 한 결과에는 5~10개의 가짓수(26.6%)를 보여 9개 가짓수를 제시했습니다.
-직장 생활하다 보니 상차림에 전을 부치는 것이 번거로워 기름진 음식 없이 세 가지 과일을 중심에 두고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3색 나물과 밥, 국, 술, 송편을 두는 차례상을 차리고자 합니다. 어떻까요?
△이번에 제시하는 표준 차례상과 같아 보입니다.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사계 김장생)에 ‘밀과와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다’ 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기름을 이용하여 전을 부치는 명절이 아니라 가족과 뿌리를 생각하는 명절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