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윤 정부, 北에 이산가족 회담 첫 제의… 권영세 “지속적으로 제안할 것”

권영세 통일부 장관, 8일 추석 계기 대북 담화 발표

“한달에 400여 분 세상 떠나…남아계신 분도 고령”

“일회성 상봉으론 부족…신속·근본 대책 마련해야”

통일부 “북한, ‘회담 제안’ 대북통지문 수령 안 해”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대북 제의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대북 제의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8일 북한에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회담 개최를 제의했다.

권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대북 담화를 발표하고 “이산가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장관은 “한 달에만 이산가족 400여 분이 세상을 떠난다. 남아계신 4만여 분도 80~90대의 고령”이라며 “과거와 같은 소수 인원의 일회성 상봉으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장 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해 신속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가 회담 일자와 장소·의제·형식 등에서 북한 측의 희망을 적극 고려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관련기사



다만 권 장관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에 대규모 쌀 지원을 할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 “지금 정부는 이런 인도적 문제에 대해 특별한 유인책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남북 관계가 교착 국면인 상황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취지의 지적에는 “이산가족 문제는 추석을 맞아 가장 절실한 문제라고 생각해 담화를 하고 제안하게 된 것”이라며 “어떤 의미에서 이산가족 제의를 통해 다른 남북 관계 문제가 같이 풀릴 수도 있다”고 답변했다.

이와 함께 “(북한이) 회담 제의를 무시하거나 비난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제안해나갈 것”이라며 “저희로서는 반드시 필요한 문제들에 대해 계속해서 북한에 문을 두드릴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권 장관이 직접 북한에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제안했지만 북한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높아보이지는 않는다. 통일부는 이날 권 장관 명의의 대북 통지문을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발송하려고 했지만 북측은 이를 수령하지 않았다.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김여정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말한 투로 볼 때 북한이 호응할 가능성은 없다”면서 “통일부 장관으로서는 해야 할 말이지만 공허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보수 정부의 딜레마”라고 부연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연구센터장도 “북한이 제안을 받든, 받지 않든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은 해야 한다”며 “담대한 구상도, 이산가족 상봉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한편 통일부에 따르면 이달 기준 정부의 이산가족 찾기 시스템에 접수한 신청자는 총 13만 3654명이며 이 중 생존자는 4만 3746명에 그친다. 나머지 8만 9908명은 이미 사망했으며 생존자들의 평균 나이는 82.4세다. 신청자 가운데 상봉자는 총 3043명(생존자 1099명, 사망자 1944명)으로 신청자 대비 2.28% 수준이다. 남북 이산가족 대면·화상 상봉 및 생사 확인은 2018년 8월 이후 지금까지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