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042660) 노조가 매각 작업의 최대 암초로 떠올랐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26일 회사 매각 과정에 참여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노조는 이번 매각을 ‘밀실·특혜 매각’으로 규정하고 매각 과정 전반에 대해 개입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매각 작업에 노조를 참여시키지 않는다면 매각 자체에 반대하는 움직임도 예고했다.
정상헌 전국금속노동조합 대우조선지회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당사자(노조) 참여 없는 일방적인 밀실·특혜 매각에 분노한다”며 “산업은행은 그동안 노조와 사전 논의를 거쳐 매각을 해야 한다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날) 일방적으로 매각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정 지회장은 20여년 동안 대우조선해양 매각 불발의 원인으로 노조 참여 배제를 꼽았다.
정 지회장은 “지금이라도 매각 진행 내용을 대우조선지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노조를 참여시켜야 한다”며 “산업은행이 일방으로 밀실·특혜 매각을 진행하면 모든 물리력을 동원해 전면 투쟁을 불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조가 ‘특혜 매각’이라고 규정지은 배경에는 노동계의 반기업 정서가 있다. 정 지회장은 한화에 대해 ‘재벌’이라는 단어까지 사용했다. 다만 노조도 대우조선해양의 경쟁력 측면에서 매각 자체에는 동의했다. 정 지회장은 “대우조선해양이 영속적인 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산업은행 체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를 비롯한 노동계는 대우조선해양 인수 절차는 물론 인수자인 한화에 대한 검증부터 사업 방향, 고용 승계 등 인수 이후 계획까지 따져 보겠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노조가 반대해온 분리 매각이 아닌 통매각으로 진행되지만 인수 과정에서 발생할 고용 승계와 하청노조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 이슈 등이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아직 인수 이후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이 나오지 않았지만 조선 업계 과잉 공급과 이에 따른 사업 구조 조정 가능성은 열려 있다.
연장 선상에서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을 매각한 후 조선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했고 대비책이 있는지도 노동계의 검증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금속노조 측은 “대우조선해양 매각은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사안”이라며 “매각 이후 전망에 대한 확실한 검증과 사회적 동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우조선해양이 하청노조에 제기한 470억 원 규모 손해배상 소송이 이번 매각의 또 다른 변수다. 한화가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에도 손배 소송을 이어간다면 노조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더욱이 현재 국회에서 야당이 추진 중인 일명 ‘노란봉투법’ 제정 논란으로 불똥이 튈 가능성도 있다. 금속노조는 27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금속노조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우조선해양 매각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정 지회장도 참석한다.
‘부실의 늪’에 빠진 대우조선해양을 어떻게 정상화할지도 한화그룹에 남겨진 큰 과제다. 올해 상반기 기준 대우조선해양의 매출은 2조 4295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 성장했다. 하지만 영업적자는 5696억 원을 보이며 2년 연속 적자가 불가피하다.
생산성 지표인 1인당 매출을 보면 대우조선해양은 경쟁사 대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상반기 기준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근로자 1인당 매출액은 각각 3억 3872만 원, 3억 2974만 원을 기록했다. 대우조선해양은 2억 9309만 원으로 경쟁사 대비 16%가량 낮은 상황이다. 대우조선해양의 인력 구조는 전형적인 상후하박 구조다. 특히 올 초부터 많은 인력이 현대중공업 등 경쟁사로 이탈하면서 현장에서는 20년 차 부장급도 막내급이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그나마 수주 상황은 기대해볼 만하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달 말 현재 총 86억 달러(약 12조 3100억 원)의 수주를 받은 상태다. 올해 목표치인 89억 달러의 96%에 해당하는 수치다. 글로벌 에너지 체계 재편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30척의 일감을 확보하며 조선업 호황의 수혜를 받고 있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의 불법 파업으로 해외 신인도가 떨어진 점도 과제다. 실제 올 7월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 파업 당시 옥포조선소에 파견 나온 감독관들은 도크 무단 점거 상황을 해외 선주에 보고하는 등 대우조선해양 신뢰에 큰 타격이 갔다. 조선 업계의 한 관계자는 “많은 선주들은 대우조선해양과 수십 년간 함께 일해오며 신뢰를 쌓았지만 경영난이나 노조 파업 등이 장기화되면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한화그룹은 노조와의 상생을 강조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발표문에서 “경남 거제의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조선 기자재와 하청 업체 등과도 지속 가능한 협력 관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노조와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노사 관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