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정부, 슈퍼컴퓨터·AI관련 반도체 대중 기술 수출 제한 이번주 발표”

NYT·블룸버그 보도

슈퍼컴퓨팅·AI 관련 기술수출 일제 제한할 듯

반도체 장비 수출도 제한

"차세대 무기·주민 감시 자동화 저지 의도"

“알리바바, 텐센트 등 기술기업 치명타 예상”


미국이 슈퍼컴퓨터로 불리는 고성능 컴퓨팅(HPC)과 관련한 반도체 기술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새 규제를 이르면 이번주 발표한다.

뉴욕타임스와 블룸버그통신 등은 3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가 HPC를 사용하는 중국 기업과 정부연구소 등을 겨냥한 ‘화웨이식 제재’에 나설 것이라며 이 같이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수많은 중국기업과 연구소들이 화웨이와 유사한 제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중국 화웨이는 트럼프 행정부 당시인 2020년 미국의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으로 치명상을 입었다. FDPR은 외국에서 만든 제품이더라도 미국산 소프트웨어나 장비, 기술 등이 사용됐다면 중국으로의 수출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FDPR을 슈퍼컴퓨터나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기술에도 적용함으로써 중국의 첨단 기술 접근을 차단하겠다는 게 바이든 정부의 구상이라는 것이다. NYT는 또 바이든 정부가 미국 기술이 적용된 반도체 장비의 중국 판매를 금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뉴욕타임스는 “이번 기술수출 조치는 중국의 차세대 무기 개발과 첨단기술을 활용한 주민 감시체제 자동화를 저지할 의도로 준비되고 있다”며 “이 조치가 시행되면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주요 인터넷 기업이 데이터센터와 슈퍼 컴퓨팅 시설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시아소사이어티의 오빌 셸 박사는 “바이든 정부가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및 반도체 기술 공급망을 완전히 분리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또 “중국 정부가 소수 민족 감시와 핵무기 시물레이션, 차세대 무기 설계에 슈퍼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며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을 앞둔 시점에 미국 정부가 이런 조치를 발표하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웨이퍼 들고 반도체 전쟁 선포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웨이퍼 들고 반도체 전쟁 선포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