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한국계 교수 3명 '천재들의 상' 맥아더 펠로십 선정

허준이·최예진·모니카 김 영예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맥아더 재단 홈페이지 캡처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맥아더 재단 홈페이지 캡처




최예진 시애틀 워싱턴대 교수. 맥아더 재단 홈페이지 캡처최예진 시애틀 워싱턴대 교수. 맥아더 재단 홈페이지 캡처


모니카 김 위스콘신대 교수. 맥아더 재단 홈페이지 캡처모니카 김 위스콘신대 교수. 맥아더 재단 홈페이지 캡처


‘천재들의 상’으로 불리는 맥아더 펠로십에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39) 등 한국계 3명이 선정됐다.



미국 맥아더재단은 12일(현지 시간) 허 교수와 최예진(45) 시애틀 워싱턴대 교수, 모니카 김(44) 위스콘신대 교수 등 각 분야의 인재 25명을 펠로십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재단은 올해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한 허 교수에 대해 “조합론과 대수기하학 간 새로운 연결 고리를 통해 오랜 수학적 난제들을 증명했다”며 펠로십 선정 이유를 밝혔다.



허 교수가 그간 연관성이 적다고 알려졌던 조합론과 대수기하학 두 분야에 밀접한 관계가 숨겨져 있음을 밝혀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컴퓨터를 이용해 언어를 분석하는 자연어처리(NLP) 분야의 권위자인 최 교수도 이날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재단에 따르면 최 교수의 연구는 인공지능(AI)이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AI가 단순히 문장 속 단어의 뜻에 국한하지 않고 인간의 상식에 따라 문장의 숨은 뜻을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을 개발했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인터넷의 각종 허위 정보들을 판별하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글의 사실관계와 글쓴이의 의도를 종합해 온라인 쇼핑몰의 가짜 후기나 가짜 뉴스를 자동으로 골라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재단은 역사학자인 김 교수에 대해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뤄진 탈식민지화 속 미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했다”고 펠로십 선정 이유를 밝혔다. 김 교수는 2019년 펴낸 ‘한국 전쟁의 심문실 : 알려지지 않은 역사’에서 영토 다툼에서 시작된 한국전쟁이 인간의 내면과 개개인을 둘러싼 싸움으로 발전했다고 썼다. 또 한국전쟁 참전을 계기로 미국의 세계 분쟁 지역 개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