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영우가 사랑한 고래 '비봉이'…17년 만에 고향 바다로

수족관에 남은 마지막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적응훈련 뒤 방생

해수부 "최소 한 달간은 매일 추적·관리예정"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해양수산부남방큰돌고래 비봉이. 해양수산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방영 이후 고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남방큰돌고래 ‘비봉이’가 17년 만에 고향 바다로 돌아갔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비봉이는 16일 오전 9시 40분께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 설치된 해상가두리에서 방류됐다. 방류에 앞서 해수부는 이날 새벽 비봉이 가두리를 야생 돌고래 무리가 서식하는 쪽으로 옮겼고, 야생 돌고래 무리가 가두리 근처로 접근하자 비봉이를 놓아줬다.



해수부는 지난 8월 비봉이 방류 계획을 수립한 뒤 비봉이를 해상가두리로 옮겨 약 70일 동안 야생적응 훈련을 진행했다. 비봉이는 제주 연안의 빠른 조류와 높은 파도 등 환경에 잘 적응했고 물고기 사냥에도 익숙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훈련 기간 야생 돌고래 무리와도 매일 접촉하는 모습을 보인 만큼, 해수부는 비봉이가 생태계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앞으로 해수부는 비봉이의 이동 상황과 위치, 건강 상태, 야생 무리와 동행 등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육상 3개 팀, 선박 2척 등을 통해 최소 한 달간은 비봉이를 매일 추적·관리한다는 방침이다. 한 달 뒤 비봉이의 적응이 확인되면 한 달에 한 번씩 5일 이상 연속으로 상태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최소 6개월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비봉이 해양방류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과 기록을 연구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영상자료와 백서로 제작한다. 비봉이의 적응훈련과 해양방류 관련 자료는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만약 야생 적응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봉이를 다시 포획해 수족관에서 보호·관리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비봉이가 야생적응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17년 만에 고향 바다로 돌아갈 수 있게 됐다”며 “해수부는 비봉이를 비롯한 해양동물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남방큰돌고래는 제주도 연안에 120여 개체가 서식 중이다. 최근 TV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주인공인 우영우(박은빈)가 “언젠가 제주 바다에 나가 남방큰돌고래를 보고 싶다”고 말하면서 관심이 집중됐다.

국내 수족관에는 2012년 총 8마리의 남방돌고래가 있었으나 2013년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를 시작으로 2017년까지 총 7마리가 자연으로 돌아갔다. 이날 비봉이가 방류되면서 국내 수족관에는 남방큰돌고래가 남아 있지 않게 됐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