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근로자 햇살론', 조건 같은데도 금리는 최대 3.3%p 더 높아

사진 제공=연합뉴스사진 제공=연합뉴스




저소득·저신용 직장인을 위한 ‘근로자 햇살론’ 금리가 같은 조건에서도 금융사별로 최대 3.3%포인트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상품인 만큼 금리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서민금융진흥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근로자 햇살론을 취급하는 제2금융권에서 7월 말 기준 상품 평균 금리가 가장 낮은 곳은 농협상호금융(5.5%)이었다. 새마을금고와 신협상호금융의 평균 금리도 각각 연 5.8%, 연 6.5%였다.

관련기사



반면 저축은행업권의 근로자 햇살론 평균 금리는 연 7~8%대였다. 근로자 햇살론 취급 상위 저축은행 3개사의 7월 말 기준 평균 금리를 보면 신한금융저축은행이 연 7.7%였고 NH저축은행이 연 7.3%였다. SBI저축은행의 평균 금리는 8.8%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평균 금리가 가장 낮은 농협상호금융과 비교하면 금리 차는 3.3%포인트에 달한다.

근로자 햇살론은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 혹은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20%에 해당하면서 연소득이 4500만 원 이하인 근로자를 위해 연 10.5% 이내 금리로 대출해주는 정책서민금융상품이다. 대출 취급기관은 상호금융조합과 저축은행으로, 최대 2000만 원까지 3년 또는 5년 동안 빌릴 수 있다.

윤창현 의원은 “정부 보증이 뒷받침되는 대출 상품은 금융회사 어디를 가던 비슷한 금리 수준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며 “서민금융진흥원은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취급하는 금융사에 더 많은 보증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