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대만 반도체 협력 소위원회 설치 검토해야”

제 46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

“미·일간 공조처럼 한국과 대만도 상생 협력해야”

“韓 강점 장비, 대만 강점 패키징 분야 공조 모색도 방안”

강준영(왼쪽부터) 한국외대 교수, 량광중 주한대만대표부 대표, 김준 한·대만 경협위원장,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 황효구 하나은행 본부장, 김민현 한미반도체 사장이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46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강준영(왼쪽부터) 한국외대 교수, 량광중 주한대만대표부 대표, 김준 한·대만 경협위원장,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 황효구 하나은행 본부장, 김민현 한미반도체 사장이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46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글로벌 반도체 패권 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한국과 대만이 끈끈한 공조를 바탕으로 ‘윈-윈’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의견은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대만국제경제합작위원회가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 센터에서 공동 개최한 ‘제46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 현장에서 나왔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강준영 한국외대 교수 겸 한국대만학회 회장은 ‘2022년 한국경제와 한·대만 경제협력’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미국과 일본이 칩4 안에서 양자논의체를 발족하고 2나노(㎚·10억분의 1m) 반도체 개발을 논의하고 있다”며 “한국과 대만 역시 기업 간 현안 조율과 협의, 상생형 산업협력·상호 투자 방안 등을 할 수 있는 협의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강 교수는 경쟁이 심화하는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대만 경제협력위원회 산하 반도체산업 협력 소위원회 설치를 검토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에 이어 발표에 나선 김민현 한미반도체 사장은 “메모리 1위 한국과 칩 위탁생산(파운드리) 분야 1위 대만은 건전한 경쟁관계로 연결돼 있다”며 “한국이 강점을 지닌 반도체 장비 분야와 대만이 잘하는 패키징 분야에서 서로 협력해 새로운 솔루션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열린 회의에서는 반도체 산업 외에도 양국 간 섬유·의류·패션, 금융분야 경제 협력 방안 등이 논의됐다.

김준 전경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장은 “1968년 시작된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 양국 경제 발전사와 늘 궤를 같이 했다”고 전했다. 전경련은 내년 타이베이에서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