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하나금융硏 "내년 성장률 1.8%…최종 기준금리 3.75%"

2023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환율 하반기 1340선 예측

"부동산은 낙폭 더 커질 것"

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 붙은 정기예탁금 안내 현수막. 연합뉴스서울 시내의 한 은행에 붙은 정기예탁금 안내 현수막. 연합뉴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파급효과로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이 1%대 후반으로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준금리는 3.75%까지 오른 뒤 하반기부터 조정되면서 시중금리가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올해 2.6%에서 회복세가 약화되면서 내년 1.8%로 둔화되고 원·달러 환율은 내년 1분기 이후 점진적인 하향 안정세를 되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부동산은 과거와 달리 금융 여건 악화로 가격 하락 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분야별로 보면 민간 소비는 서비스 소비 여력 및 해외여행 증가 등에 힘입어 회복세는 이어가겠지만 가계 실질 구매력 감소, 부채 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 등으로 증가율은 2.2%에 그칠 것으로 관측된다. 건설 투자와 설비투자 증가율은 각각 올해 -1.6%, -4.3%(추정치)에서 내년 1.4%, -0.2%로 추정했다. 수출(통관 기준) 역시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수출 품목들의 단가 하락,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올해 805%에서 내년에는 -0.6%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준금리는 내년 추가 인상으로 최종 3.75%를 찍은 후 조정에 들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시중금리는 국고채 3년(평균) 금리가 내년 상반기 4.08%에서 하반기 3.88%로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장단기 금리 차 역전 현상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은 내년 상반기까지 1400원대를 유지하다가 하반기 1340원 선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