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의학연, 보약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메커니즘 밝혀

보약 핵심성분에 대한 생물학적 경로 분석으로 ‘에너지 대사’와 연계성 드러내

한국한의학연구원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약데이터부 이상훈 박사 연구팀이 기를 보하는 한약의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20일 발표했다.



한의학에서 ‘기가 허하다’(이하 기허증, 기허)는 말은 여러가지 증상을 복합적으로 의미한다. 만성피로가 있거나 질병에 쉽게 걸리거나 추위를 잘 타는 경우에도 한의학에서 말하는 ‘기허증(氣虛症)’의 대상이 될 수 있다.

2007년 발간된 ‘WHO 서태평양지역의 전통의학 표준용어집’에서는 ‘나른함’, ‘힘이없음’, ‘호흡곤란’, ‘어지러움’, ‘약한 맥’ 등의 증상을 대표적인 기허 증상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즉 하나의 특별한 증상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서 ‘기가 부족한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렇게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기허’를 한의학적 신비주의의 대상이 아닌 현대과학으로 재정의하며 접근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기허’를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고안했다.

네트워크 생물학을 이용해 기를 보하는 한약재(이하 ‘보기제’)에 있는 고유한 유효 성분만을 추출하고, 해당 유효성분이 작용하는 생물학적 기전을 분석하여 치료 타겟을 도출했다.

연구진은 ‘보기제’에서 13종의 핵심 성분을 도출하고 그 핵심 성분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와 생물학적 경로를 추적했다.

그 결과 성분에 따라 18종에서 447종의 유전자 타겟, 그리고 8종에서 132종에 이르는 생물학적 경로가 드러났다.

이어 추가분석을 통해 보기제의 핵심 성분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연결하는 주요 대사 경로와 아미노산, 비타민 등 다양한 대사 경로에 관여해 에너지를 생성하거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결국 기를 보한다는 것은 인체 내의 에너지 대사 문제를 치료하고 에너지 생산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한의학에서 이야기하는 ‘기’를 현대 생물학적 개념인 ‘에너지 대사’로 치환할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 저명학술지 플랜트에 게재됐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