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엔솔은 호주서 흑연 조달…북미 공급망 확대

阿 광산 소유 시라社와 MOU

2025년부터 2000톤 들여와

美·加 이어 공급망 강화 행보





LG에너지솔루션(373220)이 배터리 핵심 소재 중 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은 ‘흑연’의 공급망 다변화에 나선다.

호주에서 천연 흑연을 들여오는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을 앞두고 핵심 원재료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일 LG엔솔은 19일(현지 시간) 호주 업체 시라와 천연 흑연 공급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2025년부터 양산하는 천연 흑연 2000톤 공급을 시작으로 양산 협력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양 사는 연말까지 세부 내용을 협의하고 최종 공급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번 협약은 배터리 핵심 소재 중 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은 흑연의 공급망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흑연의 중국산 비율은 70.4%에 달한다. 권영수 LG엔솔 부회장은 “이번 협력은 핵심 전략 시장인 미국에서 경쟁력 있는 원재료를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차별화된 원재료 공급 안정성 및 원가 경쟁력을 갖춰 고객들에게 최고의 QCD(품질·비용·납기)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엔솔과 공급계약을 맺은 호주의 시라사는 세계 최대 흑연 매장지로 불리는 아프리카 모잠비크 광산을 소유해 운영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생산 공장을 설립해 운영할 계획이다. 시라사의 흑연 광산과 미국 생산 공장을 통해 원재료를 조달하면 IRA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된다.

이번 MOU를 통해 LG엔솔은 북미 지역 내에서 양극재 핵심 소재인 리튬·니켈·코발트뿐만 아니라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까지 배터리 핵심 소재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IRA 등 급변하는 대외 경영 환경에 보다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고 확고한 경쟁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앞서 LG엔솔은 캐나다 광물 업체 엘렉트라·애벌론·스노레이크와 황산코발트 7000톤, 수산화리튬 25만 5000톤을 공급받기로 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