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尹대통령 “초격차 과학기술 전략 매우 중요…5년 간 25조 투자”

대통령 주재 과기자문회의 첫 개최

AI·양자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선정

尹 “민관 합동으로 프로젝트 추진”

“연구기관 블라인드 채용 전면 폐지”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반도체, 인공지능(AI), 차세대 원자력 등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하고 이를 초격차 기술로 성장시키기 위한 투자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임 후 첫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를 주재하고 “기술 패권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이런 대전환의 시기에 추격을 넘어서 초격차를 만드는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전략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가 발표한 12대 국가전략기술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이다.

관련기사



윤 대통령은 “12개 국가전략기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성장 엔진이 될 수 있도록 집중 육성하겠다”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R&D에 향후 5년간 25조원 이상을 투자해서 초일류·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 민관 합동으로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를 추진해서 확실한 성과를 창출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전략기술 육성 특별법 제정 등 지속가능한 추진체계를 법제화하고, 미래를 위한 준비에 정부 역량을 집중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민관 합동의 중요성에 방점을 찍었다.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기존의 정부·중앙 중심에서 민간·지방 주도로 전환하며, 산·학·연 간 융합·협력을 강화한다”며 과학 기술 정책의 대전환을 국정과제로 제시했다. 대통령실은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의 민간 참여를 강화해 사실상의 민관 과학기술혁신위원회 역할을 맡게 하겠다는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최근 몇 년 동안 우수 연구자 확보를 가로막았던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은 연구기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전면 폐지하겠다”고도 밝혔다. 블라인드 채용은 문재인 정부가 전(全) 공공 부문에서 인력을 뽑을 때 출신 학교나 구체적 경력 등을 가리고 심사토록 한 제도다. 하지만 과학계 내에서는 공공 연구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방식이 연구 인력의 자질과 역량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만든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윤 대통령은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를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해서 과학기술 선도국가의 청사진을 그려나가길 기대한다”며 “무엇보다 현장 연구자들이 자유와 창의로 마음껏 연구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