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상민 장관, 11시 20분 행안부 내부 문자 알림으로 사건 첫 전달 받아

행안부 중앙재난안전 종합상황실 10시 48분 접수

보고 정리해 이 장관 포함 행안부 관리자에 전파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다중 밀집 인파사고 안전확보를 위한 범정부 TF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다중 밀집 인파사고 안전확보를 위한 범정부 TF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태원 압사 참사 당일인 지난달 29일 사고 발생 1시간여 뒤인 오후 11시 20분에 경찰 직보가 아닌 행안부 내부 알림 문자를 통해 사고 사실을 처음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행안부에 따르면 상황실은 오후 10시 48분 도착한 보고를 정리해 오후 11시 20분 이상민 장관을 포함한 행안부 내 재난안전 관리 담당자들에게 문자로 발송했다. 그 전에 장관에게 별도의 구두 보고는 없었다.

앞서 행안부는 이날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소방당국에 이태원 압사 관련 신고가 처음 들어온 시간은 오후 10시 15분, 이 내용이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 종합상황실로 접수된 것은 30여분 가량 지난 오후 10시 48분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그로부터 다시 30여분 가량이 지나서야, 그것도 경찰이나 소방 직보가 아닌 내부 문자 알림을 통해 사건을 인지한 것이다. 이 문자는 장관뿐 아니라 행안부 내 주요 간부들에게 일괄 발송되는 문자다.



행안부에 따르면 119신고가 들어오면 시도 소방본부 상황실, 사고 인접지역 소방서, 시도 소방본부, 소방청을 거쳐 행안부 종합상황실에 최종 도착한다. 소방청은 신고접수된 모든 사고를 행안부 상황실에 보고하는 것은 아니며, 인명피해 등 위험성을 고려해 보고한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날 오전 중대본 브리핑에서 박종현 행안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행안부 상황실에서 접수하고 이것이 차관, 장관까지 보고할 사안인지는 상황실장이 판단해서 조치를 하게 된다"고 설명한 뒤 "소방에 최초 신고된 게 오후 10시 15분, 행안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로 접수된 게 오후 10시 48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찰, 소방의 사고 접수가 유기적으로 이뤄지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라고 말했지만, '어떤 수준의 사건·사고가 행안부 상황실로 접수되느냐'라는 질문에는 "정확히 확인해서 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오후 10시 15분부터 10시 48분까지 30여분간의 보고 절차와 현장의 판단 내용을 공개해달라는 요구에도 "현재 답변드릴 수 있는 내용은 없고, 확인해서 알려드리겠다"고만 말했다.

함께 배석한 이일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10시 15분 이전에는 사고의 징후와 직접 관련된 내용으로 신고가 들어온 것은 없다"면서 "이태원 쪽에서 7건의 신고가 들어왔는데 그런 것들은 행사장 주변의 주취자 등 일반 구급 상황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

다만 이후 "현재까지는 없다는 것이고, 지금 여기에 대해 계속 확인 중이다"라고 정정했다.

경찰청의 112신고 녹취록 공개처럼 119신고 녹취도 공개할 계획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루트(절차)에 의해서 하는데, 요구한다고 바로 나가는 것이 아니고 절차에 따라 공유하는 걸로 안다"고 답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