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경제상황 상시 진단시스템 구축…"경제위기 선제 대응책 마련"

정량 및 정성 분석 결합된 체계적·종합적 상시 진단 가능

부산경제 10개 부문 상황을 관심, 주의, 심각으로 나눠 매달 제시

서부산산업단지 전경./사진제공=부산시서부산산업단지 전경./사진제공=부산시




부산 경제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시 진단시스템이 구축됐다. 최근 대내외 변수가 부산경제 전반에 경로연관성을 지니면서 부정적 영향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이번 상시 진단시스템 구축은 경제위기 발생 시 지역 차원의 선제 대응책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3일 ‘부산 경제상황 상시 진단시스템 구축’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상황 진단 대상을 부산경제 전체를 비롯해 위기 발생 원인이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해 10개 부문으로 구분했다. 거시경제 분야는 4개 실물부문(고용, 생산, 소비, 물가), 1개 금융(부채)부문, 1개 대외부문(수출) 등 6개로 나눴다. 산업분야는 지역특화산업과 경기민감도 등을 고려해 관광, 항만·물류, 부동산·건설, 소상공인의 4개로 구성했다. 소상공인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자영업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해 산업에 넣었다.



이번 진단시스템은 정량·정성 분석을 결합해 종합적인 경제상황 진단이 가능하다. 정량분석에서는 경기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요 변수, 경기 전망에 유용한 경제심리지수, 보조지표 등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76개 지표를 선정해 분석한다. 특히 카드사용액, 평균대출잔액, 대출연체현황, 금융(부채) 등 시의성 있는 민간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한다.

관련기사



정성분석에서는 현장 경기 반영이 중요한 점을 고려해 기업, 협회, 조합, 유관기관 등 부문별로 현장 종사자 10명으로 풀을 구성해 현장 경기조사를 실시한다. 이와 함께 교수 및 연구원 등의 부문별 전문가 5인을 선정해 정량분석과 현장 경기조사를 참조해 종합 진단을 한다.

진단 분석 기간은 코로나19 팬데믹, 글로벌 공급망 위기, 3고 현상 등 최근 경기침체 구간 즉, 코로나19 발생 기간이 포함된 최근 5년(2018년 1월 이후)로 설정했다. 위기 발생 원인의 다원화 및 산업구조 변화 등을 고려해 과거 외환위기 및 글로벌 금융위기와 최근의 위기를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판단에서다.

부산경제 전체 상황을 비롯한 10개 부문 경제상황을 3단계(관심, 주의, 심각)로 구분해 제시한다. 월 단위로 ‘부산 경제상황 진단 보고서’를 발간해 부산시 정책 수립과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부산시에 전달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달 14일 열린 ‘제3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논의됐다.

이상엽 경제동향분석센터장은 “시차가 발생하는 통계 중심의 정량분석에 의존한 기존의 진단은 정확성이 결여될 수 있는 동향분석에 국한됐지만 이번에 구축한 종합적 진단 시스템은 지역경제 상황에 대한 체계적 진단이 가능하다”며 “부산시 차원의 단계별 대응책을 마련하는데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산경제 상시 진단시스템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울이나 충남처럼 가칭 ‘부산 경제위기 대응시스템 구축·운영 관련 조례’ 제정과 함께 경제위기 발생 시 재원 확보 및 신속한 운영을 위한 ‘경제위기 대응 기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