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뒷북경제] 끈적한 고물가, 확 잡을 묘수가 없다

한은 "내년 1분기까지 5%대 물가 지속"

외식·여행비 급등…정부 개입 어려운 품목

전쟁·긴축·산유국 감산 등 물가 불안 여전





“소비자 물가는 내년 1분기까지 5%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가 지난 2일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향후 물가 흐름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지난 7월 6.3%(전년 동월 대비)까지 올랐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0월 5.7%로 다소 내려오기는 했지만, 당분간은 ‘끈적끈적한’ 고(高)물가 상황이 이어진다는 경고입니다.

관련기사



최근의 물가 상승 원인을 뜯어보면 이 같은 경고가 왜 나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외식과 항공료 등이 포함된 개인서비스 물가가 지난해 10월보다 6.4% 올랐습니다. 9월에 이어 두 달 연속 1998년 4월(6.6%) 이후 최고치입니다.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8.9%, 국내 항공료와 단체여행비는 각각 17.0%와 26.0% 뛰었습니다. 연말연시 외식 수요가 늘고, 방역 조치 해제로 여행 수요가 점점 커질 것을 고려하면 개인서비스 물가는 당분간 상방 압력이 거셀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외식의 경우 가격의 하방 경직성이 매우 큰 품목입니다. 가격이 한 번 오르면 다시 내려오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죠. 이달 물가 상승을 견인한 전기·가스·수도 요금도 그렇습니다. 10월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전년 동월 대비 23.1% 치솟았습니다. 전년 동월비로 이 통계를 비교할 수 있는 2011년 1월 이후 최대 폭 상승이죠. 지난달부터 전기요금이 킬로와트시(㎾h) 당 7.4원,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요금은 메가줄(MJ·가스사용 열량 단위)당 2.7원 인상돼 가계 부담이 월평균 7670원 가중된 여파입니다.

한 번 오르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소비자에게 상당한 부담을 지우는 외식과 공공 요금 등이 물가 상승을 이끄는 이 상황은 정부의 대응을 어렵게 만드는 대목입니다. 끈적끈적한 고물가를 조금이라도 빨리 끊어낼 정책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죠. 이에 대해 정부는 “비축 물량 방출을 통한 수급 조절, 할당관세 적용 등으로 외식 가격의 상방 압력을 최대한 낮추겠다”며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물가 안정을 위한 협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물가를 더 밀어 올릴 수 있는 요인들이 산적합니다. 미국의 초긴축, 여전히 고공 행진 중인 원·달러 환율, 전쟁 장기화 및 러시아의 식량 무기화 등이 있죠. 이승헌 한은 부총재 역시 “향후 물가 전망 경로에는 국내외 경기 하방 압력 증대에 따른 하방 리스크와 고환율 지속, 주요 산유국 감산 규모 확대에 따른 상방 리스크가 혼재해 불확실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