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WP "삼풍 참사에도 한국은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나"

"삼풍 사고는 고도성장에 경종…이태원은 문화 도약중 발생"

美 교수 "한국, 세계인 끌어당겼으나 걸맞은 책임감 없는듯"

서울 서초동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현장. 서울경제DB서울 서초동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현장. 서울경제DB




미국 유력 일간지인 워싱턴포스트(WP)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한국이 27년 전의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겪고도 대형 참사 발생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WP는 4일(현지시간) '이태원 핼러윈 참사, 1995년 삼풍 붕괴의 유령을 소환하다'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삼풍 이후에도 한국은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일각에서 제기된다"고 보도했다.



WP는 1995년 502명이 숨진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에 대해 "현대화의 열망 속에 건설업자와 공무원들이 안전조치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면서 "한국이 초고속 경제성장 중에 무엇을 용인해왔는지 드러내 준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WP는 당시 사고 직전까지 붕괴 조짐이 있었는데도 백화점 경영진이나 관련 당국 공무원들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으며 사고 후에는 재발 방지를 위해 건축물 안전에 대한 정부 감독이 강화되고, 과실치사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는 등 제도적 보완이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시민들이 5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 분향소를 찾아 조문을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분향소에 내걸린 문구를 '이태원 사고 사망자'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로 바꿔 달았다. 연합뉴스시민들이 5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 분향소를 찾아 조문을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분향소에 내걸린 문구를 '이태원 사고 사망자'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로 바꿔 달았다. 연합뉴스


WP는 삼풍 참사가 한국의 고도 경제성장에 경종을 울렸다면 이태원 참사는 한국이 문화 중심지로서 전 세계에 존재감을 떨치던 중에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 교수는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 20여 개국 출신 외국인들이 희생됐다는 점을 거론하며 “한국에는 전 세계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무언가 '쿨'한 것이 있지만 거기에 어울리는 책임감은 갖추지 못한 것 같다”며 "그저 안타깝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더든 교수는 “두 참사에서는 책임자들이 '어쩔 수 없었다'는 등의 무책임성을 드러내는 패턴이 나타난다”면서 "그러면서 사람의 목숨이 희생됐다"고 비판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