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권영세 통일장관, 北핵실험에 "구체적 징후 없다"

미국 중간선거 도발 전망에도 "아직까지 징후 없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법안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법안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제7차 핵실험과 관련, "언제든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아주 임박했을 때 보이는 구체적인 징후는 없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의 핵실험 동향과 정부의 대응을 묻는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권 장관은 "많은 분들이 중국의 당대회가 마무리되고 미국의 중간선거가 있기 전쯤 도발이 있지 않겠느냐 이야기를 하는데 지금 아직까지 구체적인 징후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 중 북한이 5년전 핵무력 완성을 선언한 날(2017년 11월 29일)을 전후해 핵실험을 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여러가지 견해도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한 총리는 "우리 입장에서는 언제라도 하게 될 경우에 거기에 따라서 우리가 철저한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과 직접적으로 대화가 안 되기 때문에 대화를 통해서는 아니지만, 다른 방법으로라도 북한이 핵실험을 하지 않도록 압박하고 설득하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수개월 전 기술적으로는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핵실험 준비를 끝낸 것으로 알려져 언제라도 핵실험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정보원도 지난 9월 국회 정보위에서 "핵실험을 한다면 10월 16일 중국 20차 공산당 대회 이후와 11월 7일 미국 중간선거 사이에 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다만 예측이 아니라 가능성을 따질 때 조심스럽게, 한다면 가능성 측면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야당 간사인 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전한 바 있다.

최근 수차례 무차별적인 무력 도발 이후 소강상태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 박진 외교부 장관도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중국의 당대회가 끝났고 미국의 중간선거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취약한 시기"라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의 도발이 이뤄지면 단호하게 대응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보니 젠킨스 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차관이 지난달 27일 한 콘퍼런스에서 "북한이 대화를 원하면 군축(협상이)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에 대해 "지난 금요일(28일)에 미국의 정책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고 재차 확인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