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극심한 공포에 구토증세"…이태원 구조도운 부부 '트라우마'

참사 현장서 약 2시간 동안 구조 활동 도와

충격과 죄책감 탓에 이후 열흘간 잠 못 이뤄

"사고 경위 등 명백히 밝혀졌으면…안전한 대한민국 되길 간절히 바라"

세계음식문화거리가 통제된 모습이다. 연합뉴스 캡처세계음식문화거리가 통제된 모습이다. 연합뉴스 캡처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피해자 구조를 도왔던 부부가 그날의 충격으로 죄책감과 절망이 뒤섞인 나날을 보냈다고 고백했다.



1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직장인 심모씨(50)는 참사 당일이던 지난달 29일 부인 최모씨(39)와 함께 이태원을 찾았다. 핼러윈을 즐기기 위해 몇 달 전부터 미리 이태원에 있는 호텔을 예약해둔 참이었다. 부부는 계획대로 그날 오후 호텔 체크인을 하고 태국음식점에서 늦은 식사를 했다. 이들이 식당을 나올 때까지만 해도 일대는 축제 분위기였다.

하지만 오후 9시 30분쯤 세계음식문화거리와 사고가 난 골목이 만나는 구간에서 인파에 갇히면서 불안감을 느꼈다. 심씨는 “앞으로 가려는 인파와 뒤로 가려는 인파, 클럽 대기 줄 등이 뒤엉켜 5분 동안 옴짝달싹도 못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부부는 이 골목을 힘겹게 빠져나와 길을 건넌 뒤 상대적으로 인파가 적었던 이태원119안전센터 뒤편 골목을 걸었다. 그리고 오후 11시께 숙소로 돌아가기 전 중심가를 다시 구경하기 위해 해밀톤호텔 쪽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두 사람은 처참한 광경과 맞닥뜨렸다.

한 구급차가 10·29 압사 참사 부상자를 후송 중이다. 연합뉴스 캡처한 구급차가 10·29 압사 참사 부상자를 후송 중이다. 연합뉴스 캡처



심씨는 “수십 명이 여기저기 힘없이 누워있고, 한 사람당 시민 6∼8명이 붙어 심폐소생술(CPR)을 하고 팔다리를 주무르고 있었다”고 기억했다. 불법주차 차량 등으로 길이 막혀 한동안 구급차 진입이 어려웠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두 사람은 2시간 가까이 소방대의 구조 활동을 도왔다. 소방대원과 간호사 등이 CPR을 하는 동안 다른 시민들과 함께 쓰러져 있는 이들의 팔다리를 주물렀다. 호흡을 도우려면 꽉 끼는 코스튬을 잘라줘야 한다는 말을 듣고 주변에서 가위를 구해와 옷을 자르고 다녔다.

심씨는 "처음에는 다들 온기가 있으셨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 온기가 사라지는 것이 너무나 안타까웠다"고 했다.

부부는 참사 이후 지난 열흘간 큰 충격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전했다.

심씨는 현장에서 구조 활동을 하다 손을 다쳐 나흘 동안 젓가락질도 하지 못했고, 최씨는 예약해둔 치과 진료도 세 번이나 취소했다. 최씨는 치과 진료대에 누워 얼굴에 초록색 천을 덮으면 극심한 공포와 함께 그날의 기억이 밀려와 구토 증세가 나타났고 했다.

심씨는 “희생자와 유가족분들 생각에 밤에 잠이 잘 오지 않는다”며 “심리치료도 생각해봤는데 오히려 깊은 기억을 꺼내는 게 두려워 병원도 못 찾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교통 통제 등 참사 당일의 모든 조건이 조금씩만 달랐더라도 더 많은 사람이 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심씨는 “책임 소재 등의 경위가 명백히 밝혀지길 기다리고 있다”며 “처벌과 대책 마련 등 응분의 조치가 내려져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