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김포에 '콤팩트시티'…4.6만가구 들어선다

尹정부, 첫 신도시 '김포한강2' 확정

2027년부터 입주…지하철 5호선 연장

11일 오전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일대 모습. 정부는 이날 김포시 마산동·운양동·장기동·양촌읍 일대 731만 ㎡를 신규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하고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11일 오전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일대 모습. 정부는 이날 김포시 마산동·운양동·장기동·양촌읍 일대 731만 ㎡를 신규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하고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의 첫 신도시로 경기 김포시 일대가 낙점됐다.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로 명명된 731만 ㎡ 부지에는 신규 주택 총 4만 6000가구가 들어선다. 2027년 첫 입주를 목표로 한 이곳은 공공택지지구로는 처음으로 고밀 개발을 전제로 하는 ‘콤팩트시티’ 개념이 적용된다. 또 신도시의 자족 기능을 높이는 교통망 확충 차원에서 서울도시철도 5호선이 연장된다.

관련기사



국토교통부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지하철 5호선 광역급행철도(GTX) 등과 연계한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조성 계획’을 공개했다. 같은 날 서울시와 김포시, 서울 강서구는 서울도시철도 5호선 김포 연장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으로 국토부는 지자체 간 5호선 연장 논의가 순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선 인근 지역에 김포한강2 지구를 조성해 사업 타당성 확보를 지원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사업시행자가 연장 비용을 일부 부담해 교통망 현실화에 힘을 보탠다.

김포한강 신도시 생활권에 있는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는 초역세권(철도역 반경 300m)에 복합 쇼핑몰과 오피스, 복합 환승 센터 등 고밀 개발이 허용되며 역세권(반경 500m)에는 청년주택, 배후 지역(500~1000m)에는 대단지 아파트 등 주거 중심 지역이 조성될 예정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광역교통과 연계된 콤팩트시티 조성을 통해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도심 접근성을 대폭 제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