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사회 기반인 중산층이 하위층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점차 무너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중산층에서 하위층으로 이동한 가구는 근로소득이 줄었을 뿐만 거주비 부담이 크고 채무 상환능력이 좋지 않은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4일 작성한 ‘국내 중산층 이탈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산층 비율은 2019년 47.1%에서 2020년 44.0%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소득에서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55.8%에서 53.5%로 줄어들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전체 소득의 중위값인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75~200%, 통계청은 50~150% 수준의 소득을 가진 계층을 중산층으로 보고 있다.
연구원 분석 결과 중위소득은 코로나19 여파로 2019년 177만 원에서 2020년 160만 원으로 9.6% 줄었다. 특히 상위층으로 상향 이동한 가구(9.3%)보다 하위층으로 하향 이동한 가구(12.9%)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향 이동한 여성 가구주 비율은 상향 이동한 여성 가구주 대비 2배 수준이다. 또 하향 이동한 가구주 절반 이상이 60대 이상인 반면 상향 이동 가구주 대부분은 40~50대다.
상향 이동 가구의 평균 소득은 374만 원으로 전년 대비 23.4% 증가한 반면 하향 이동 가구는 48만 원으로 76.6% 감소해 소득 격차가 심화됐다. 근로소득 유무가 소득 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이 큰 상황이다. 하향 이동 가구는 상향 이동 가구보다 자산·부채도 적다. 특히 하향 이동 가구는 주거비 부담이 크고 불안정한 거주 형태를 지니고 있다.
연구진은 대내외 각종 리스크로 인해 국내 경기 둔화와 고용 환경 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국내 경제·사회 기반인 중산층 규모의 추가적인 감소는 물론이고 중산층 이탈 가구의 하향 이동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 방어는 물론이고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려기 위해 적절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노시연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국내 경기의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추가적인 중산층 이탈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중산층 이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로소득 유지, 향상을 위해 고용시장의 안정과 일자리 창출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