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보안원장 "'디지털 건전성' 확보해 위험 대비해야"

금융정보보호 컨퍼런스 FISCON 2022

김철웅 금융보안원장이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금융정보보호 컨퍼런스 FISCON 2022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금융보안원김철웅 금융보안원장이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금융정보보호 컨퍼런스 FISCON 2022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금융보안원




김철웅 금융보안원장은 15일 “새로운 디지털 위험에 대비하려면 ‘디지털 건전성(Digital Soundness)’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금융정보보호 컨퍼런스 FISCON 2022에 참석해 개회사를 통해 “디지털 건전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사이버 리스크가 전방위적으로 빠르게 확산돼 금융시스템 안정을 해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디지털 건전성은 금융부문의 IT 시스템과 통신 클라우드 등 각종 디지털 인프라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김 원장은 디지털 건전성을 유지하려면 △최고경영진 중심의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구축 △사이버 복원력 집중 △제로 트러스트 보안 전략 등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고경영진 스스로 금융회사를 둘러싼 디지털 생태계에서 디지털 위험을 식별하고 위험 수준을 측정하면서 전략 대응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면서 “사이버 위협과 사고를 100%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이버 위협이나 보안사고에도 금융회사의 핵심 서비스와 기능을 빠른 시간 내 회복시키는 전략으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어 “금융회사의 외부로부터 들어왔던 사이버 위협이 기업 내부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하고 있다”면서 “기업 내부의 정보자산을 중요도에 따라 유형화하고 정보자산별 내부 인증과 접근체계를 엄격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국내 최초로 ISAC 한·미·일 금융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사이버 위협 동향에 대한 특별강연을 진행했으며 1100여명이 참석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