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기자의 눈]뛰는 담배회사, 멈춰선 보건당국





전자담배 시장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KT&G와 한국필립모리스·BAT 등 담배 업체들이 신제품을 일제히 내놓으면서다. 이번에는 담뱃잎을 말아 놓은 기존의 궐련형에 액상형·과립형 담배 스틱을 모두 한 기기로 피울 수 있는 ‘3콤보 하이브리드’로까지 진화했다.



그러나 흡연자들은 어딘가 찜찜하다. “일반 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담배 업체들의 주장을 한 번 믿어보자며 전자담배로 갈아탔지만 정부가 정반대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 뒤 4년간 감감무소식이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8년 일부 궐련형 전자담배에서 일반 담배보다 타르가 더 많이 검출됐다며 “일반 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근거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당시 식약처는 ‘궐련형’ 전자담배 성분만을 기준으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4년이 흐른 현재 시중에는 궐련형뿐 아니라 액상형, 더 나아가 이 두 가지를 함께 피우는 형태의 담배가 팔리고 있다. 담배 업체들은 매년 신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연초 담배와 비교해 유해 물질 배출이 평균 95% 줄어든다”며 자체 연구 결과를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사이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전체 담배 중 궐련형 전자담배 판매 비중은 2017년 2%에서 올 상반기 15%까지 높아졌다. 올 2분기 기준 전자담배 시장 1위인 KT&G는 2025년까지 전체 매출의 50%를 전자담배로 채우겠다고 공언했다. 한국필립모리스가 내놓은 전자담배 신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흡연자들은 연일 줄을 서고 있다.

보건 당국의 침묵은 자칫 정보의 불균형을 불러올 수 있다.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만큼 해롭다면 얼마나 어떻게 해로운지, 전자담배 기기마다 다른 흡연 형태에 따라 위해성도 달라지는지에 대한 주기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국민은 알 권리가 있다.

현재 국회에는 담배 제조사가 니코틴과 타르 외 유해 성분을 분석한 뒤 정부에 제출하는 법안이 올라와 있다. 윤석열 정부 역시 국정과제를 통해 담배의 유해 성분을 평가하고 공개하는 법안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담배의 정확한 위해성 정보 전달이 금연 정책의 첫발이라는 점을 정부는 잊지 말아야 한다.


신미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