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일부, 北 김성 대사 10·29참사 발언에 "강한 유감"

"北 애도는커녕 무력도발에다 정치적 비난 소재 활용"






통일부는 17일 김성 유엔 주재 북한 대사가 10·29참사를 들어 국내외 비판을 피하려고 한국 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를 이용하고 있다고 한 것과 관련 "인도주의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행위"라고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관련기사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우리의 국가 애도기간 중 애도는커녕 무력도발을 자행한 것도 개탄스럽지만 인권과 인도주의를 논하는 국제무대에서 이를 정치적 비난의 소재로 이용하는 것은 인도주의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행위로서 이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성 북한대사는 전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3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되자 결의안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한 한국 정부를 향해 “내치 능력 부족이 원인이 된 인재인 유례없는 압사사고를 촉발했다”며 "한국 정부가 대내외적인 비판을 축소하기 위해 유엔이라는 장에서 인권 문제를 최대화하며 동족과 대치하기를 서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해당 당국자는 이날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담화와 관련해서도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당사자는 한미가 아니라 북한이며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라고 지적했다. 최 외무상은 "미국이 동맹국들에 대한 '확장억제력 제공 강화'에 집념하면 할수록, 조선반도(한반도)와 지역에서 도발적이며 허세적인 군사적 활동들을 강화하면 할수록 그에 정비례하여 우리의 군사적 대응은 더욱 맹렬해질 것"이라고 담화를 냈다. 이에 통일부 당국자는 "한미의 확장억제 때문에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된 게 아니라 북한의 지속적인 핵개발과 도발이 원인"이라며 "한미는 북한의 위협과 도발을 억제하는 노력과 함께 남북 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