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은은히 맑은 하늘빛 '천년 비색'…명품 중의 명품만 모았구나

국립중앙박물관 '청자실' 새단장

'고려비색' 전용 전시공간 마련

청자의 정교함·조형성 감상 기회

국보·보물 24점 등 250여점 전시

국보 '청자 사자모양 향로'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보 '청자 사자모양 향로'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비가 개고 안개가 걷히면 먼 산마루 위에 담담하고 갓맑은 하늘빛”



고려청자의 ‘비색(翡色)’은 비밀스럽다는 뜻의 숨길 비(秘) 자를 쓴 송나라 청자의 비색과 달리 물총새 비(翡) 자를 쓴다. 은은하면서도 맑은 비취색인데, 파랑도 초록도 아닌 오묘한 빛깔을 고려인들 스스로 ‘비색’이라 불렀다 한다. 절정기의 고려청자를 본 중국 사신 서긍은 1123년 고려를 다녀가며 쓴 ‘고려도경’에서 사자모양 향로가 보여주는 비색을 극찬했고, 남송의 태평노인은 고려 비색이 천하제일이라고 ‘수중금(袖中錦)’에 적었다. ‘갓맑은 하늘빛’이라 한 이는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낸 미학자 최순우였고, 미술사학자 고유섭은 고려청자를 “화려한 듯하지만 그 속에는 여전히 따뜻하고 고요한 맛이 있다”고 평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청자실 안에 개관한 '고려비색' 공간 전시 전경.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청자실 안에 개관한 '고려비색' 공간 전시 전경.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고려청자의 비색미감을 가장 온전하게 느낄 수 있는 전용 전시장이 개관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3층 청자실 안에 ‘고려비색’ 방을 마련해 22일 언론에 공개했다. ‘루브르의 모나리자’처럼 박물관 상징 유물을 정립하고자 한 국립박물관의 브랜딩 전략 일환으로 지난해 11월 삼국시대 불상인 반가사유상 2점을 모신 ‘사유의 방’을 개관한 데 이은 두 번째 공간이다. 약 1년에 걸쳐 새 단장한 상설전시관 청자실에는 국보 12점과 보물 12점 등 총 250여 점의 고려 청자 유물이 전시됐다.



‘고려비색’ 공간은 여러 면에서 신드롬에 가까운 호응을 얻은 ‘사유의 방’과 비교된다. 사유의 방은 널찍하고 어둑한 공간에 국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두 점만을 놓고 명상적 분위기에 빠져들게 했다. 비움 속에 여운을 넣은 촛불같은 공간이었다면 ‘고려비색’ 방은 고려 특유의 세밀하고 화려한 문화를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기에 불꽃에 비유할 만하다.

관련기사



국보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보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고려비색' 공간에 전시된 국보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고려비색' 공간에 전시된 국보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우선 비색 청자 중에서도, 형태를 본 뜬 정교함과 조형성이 특히 뛰어난 상형청자만을 모았다. 만개한 연꽃 봉오리가 뚜껑을 떠받치는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는 흙을 빚고 구워 레이스처럼 정교한 투각 문양을 만들어낸 세밀함이 탄성을 자아내는 유물이다. 입 벌리고 앉은 사자 형상이 독특한 ‘청자 사자모양 향로’는 벌름거리는 사자의 코와 돌돌 말린 털 등 표현력이 기막히다. 이들을 포함한 국보 5점과 보물 3점 등 총 18점의 청자가 ‘고려비색’ 방을 차지했다. 오묘한 비색과 섬세한 조형성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명품 중의 명품만으로 꽉 찼다. 박물관 측도 “이처럼 수준 높은 상형청자 18점이 한자리에 모여 전시되는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 할 정도다.

국보 '청자 귀룡모양 주자'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보 '청자 귀룡모양 주자'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이 향으로 후각을 먼저 자극했다면 ‘고려비색’에서는 음악이 먼저 귀를 사로잡으며 잡념을 밀어낸다. 미디어 아티스트 다니엘 카펠리앙이 청자를 떠올리며 작곡한 음악 ‘블루 셀라돈(Blue Celadon)’이다.

청자를 먼저 만든 것은 중국이었으나, 그 아름다움의 절정을 꽃피운 것은 고려였다. 청자실을 통해 느낄 수 있는 것은 고려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다. 이애령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은 “고려가 10세기 무렵 당시 최첨단 제품인 자기 제작에 성공한 것은 생활 문화 전반의 질적 향상을 가져온 혁신적인 계기였다”면서 “고려인은 불과 150여 년 만에 자기 제작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고려청자의 독자적인 아름다움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청자실의 변신도 획기적이다. 청자 조각을 활용해 현대미술가들이 재해석하게 한 시도, 초기 가마터를 비롯해 중요 가마터에서 출토된 조각을 통해 자기 제작의 시작과 과정을 보여주는 시도 등이 인상적이다. 무료관람이며, 연말까지 매주 수요일 저녁에 큐레이터와의 대화가 마련된다.

국보 '청자 음각 연꽃무늬 매병'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보 '청자 음각 연꽃무늬 매병'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청자 상감 국화 넝쿨무늬 완'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보 '청자 상감 국화 넝쿨무늬 완'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청자 사람모양 주자'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보 '청자 사람모양 주자'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청자 상감 모란 넝쿨무늬 주자'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국보 '청자 상감 모란 넝쿨무늬 주자'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