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령화에…'칸디다균' 요로감염 10년새 6배 늘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석훈·최민혁 교수팀 분석

요로 삽입관 사용 증가도 원인

2차 혈류감염땐 사망률 20~40%↑

정석훈(왼쪽)·최민혁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정석훈(왼쪽)·최민혁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




곰팡이균의 일종인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 비중이 10년 새 6배로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석훈·최민혁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팀은 2011∼2021년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환자 8만 4406명을 대상으로 감염 원인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비교적 흔한 감염질환 중 하나인 요로감염은 요도와 방광, 요관, 전립선 등에 각종 미생물이 침입해 염증성 반응을 유발한다. 대부분 장내 세균이 감염원이지만 고령화와 요로 카테터(인체에 삽입하는 의료용 관) 사용 증가 등으로 원인균이 다양해지는 추세다. 요로감염 자체의 예후가 나쁘지는 않지만 2차 혈류감염으로 진행하면 사망률이 20~40%까지 올라간다.

관련기사



2011-2021년 요로감염 원인 미생물 비율의 연간 변화.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2011-2021년 요로감염 원인 미생물 비율의 연간 변화.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진에 따르면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 비율은 2011년 2.3%에서 2021년 14.4%로 6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요로감염이 혈류감염으로 진행된 5137명 중 65세 이상 고령층(62.2%)과 요로 카테터 사용자(60.8%)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석훈 교수는 "기존에는 대장균이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이었지만 고령화 추세 때문에 요로기계 카테터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칸디다균 등에 의한 요로감염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요로감염이 혈류감염으로 이어지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도 있는 만큼 의료현장에서 적절한 조치와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감염 저널'(Journal of infection)에 발표됐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