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쪼그라드는 공모펀드…수탁액 100조도 위협

■ 활성화 대책에도 머니무브 가속

올 7조 증발…101.8조 10년來 최저

ETF는 되레 14조나 유입 '대조'

증시 침체에 간접투자 고사 우려






올해 들어 공모펀드 시장에서 7조 원이 이탈하면서 수탁액 100조 원선이 위협받고 있다. 앞선 8월 금융 당국이 공모펀드 활성화 대책을 내놓았지만 자금 유출 속도가 가팔라지는 모습이다. 반면 상장지수펀드(ETF)는 이 기간에 14조 원을 흡수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직접투자에 대한 선호가 높은 가운데 증시 침체까지 겹치면서 간접투자 상품이 고사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관련 기사 4면

관련기사



24일 한국펀드평가사에 따르면 국내 공모펀드(MMF·ETF 제외) 수탁액이 101조 8330억 원으로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수탁액이 101조 원 수준까지 내려온 것은 10년래 처음이다. 연초 대비 자금 유출 규모는 6조 7426억 원에 이른다. 운용 규모 10억 원 이하 소규모 펀드를 제외한 수탁액 규모는 95조 958억 원으로 이미 100조 원 아래로 하락했다. 공모펀드 시장 전반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자투리 펀드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한편 ETF는 같은 기간 14조 원 넘는 자금이 유입되며 시장 규모가 74조 4778억 원으로 성장했다. 올 1월 3일 기준 ETF 설정액은 61조 8896억 원이었다. 특히 국내투자 ETF에는 이 기간에 9조 983억 원이 흘러들었는데 이는 국내투자 펀드 유출액(-7조 5227억 원)을 압도한다. 올 들어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채권·대체자산 등에 투자하기 위해 펀드에서 빼낸 돈으로 ETF를 담았다는 의미다.

올 들어 증시 침체가 장기화된 상황에서 간접투자 상품인 펀드가 운용 성과면에서 ETF 대비 더 나은 결과를 증명하지 못하면서 자금 유출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국내 및 해외주식형 펀드의 올해 수익률은 -20.4%, -21.6%로 같은 기간 해당 주식형 ETF(-17.7%, -18.9%)보다 손실이 컸다. 내년까지 증시 침체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자 투자자들은 간접투자 방식의 펀드 수요를 줄이는 한편 매매 편의성이 높고 직접투자 방식에 가까운 ETF로 자금을 이동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