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尹 “강성 노조 문화가 한국 사회의 심각한 문제”

尹대통령, 로이터 인터뷰

“테슬라 투자시 맞춤형 지원”

북핵 문제엔 “전례 없는 조치”

“중국, 北에 영향력 행사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미래 우주 경제 로드맵 선포식에서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미래 우주 경제 로드맵 선포식에서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강성(militant) 노조 문화가 한국 사회의 심각한 문제(serious problem)”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화물노조 집단운송거부 사태에 대한 정부의 강경 대응이 노사관계에서 법치주의를 확립하는 과정이라고 평가하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테슬라의 전기차 공장인 '기가팩토리'의 한국 유치 가능성에 대해선 “테슬라나 스페이스X나 이와 관련된 기업들이 국내에 투자하고, 기가팩토리를 만든다고 할 때는 정부가 할 수 있는 협력을 다 해 줄 생각”이라며 “한국에 투자하려는 기업에 특화된 부분들을 맞춤형으로 줄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윤 대통령은 23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스페이스X CEO와 화상 통화를 했을 때 윤석열 정부의 노동 정책은 불공정한 노동 관행들의 위험을 없애기 위해 법치주의를 확립하는 것이라는 점을 머스크 CEO에게 전달했다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또 북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종류든 북한이 새로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전례 없는 공동대응에 맞닥뜨릴 것”이라고 했다. 그는 “북한이 (핵실험을 통해) 무엇을 얻으려고 하는지, 굉장히 어리석은 결정이 될 것”이라며 “(국제사회 전체가) 일관되고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일본의 방위비 증대 움직임에 대해서도 당연한 수순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일본 열도 머리 위로 미사일이 날아가는데 (일본 정부가) 국방비를 증액 안 하고 그냥 방치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중국의 역할론도 재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확실한 것은 중국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중국이 그 과정에 개입할 책임이 있다는 것”이라며 “평화와 안정을 위해 이 같은 영향력을 행사할지는 중국 정부에게 달려있다”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북한이 새로운 핵실험을 했을 시 한국과 동맹국들의 역할’에 대한 질문에 “전례 없는 조치에 나설 것”이란 취지로 답했지만 구체적인 조치 내용은 말하지 않았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