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34조 규모 글로벌 시장 선점 이끌 산학연 협의체 떴다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플라스틱 미래테크포럼 출범

특구기술활용, 세계 1,2위 바이오플라스틱 대기업과 탄소중립 신산업 육성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플라스틱 미래테크포럼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권석민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 SKC 김승수 실장, 스타벅스 정윤조 COO, CJ제일제당 이승진 경영리더, KBF 김헌수 기술총괄, 네이처웍스 Maria giovanna 본부장, 특구재단 강병삼 이사장. 사진제공=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플라스틱 미래테크포럼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권석민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 SKC 김승수 실장, 스타벅스 정윤조 COO, CJ제일제당 이승진 경영리더, KBF 김헌수 기술총괄, 네이처웍스 Maria giovanna 본부장, 특구재단 강병삼 이사장. 사진제공=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34조 규모의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앞장설 산학연 협의체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플라스틱 미래테크포럼’이 출범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9일 한국과학기술회관 아이리스홀에서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플라스틱 미래테크포럼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지역특화 우수기술의 실증 및 사업화를 통한 바이오플라스틱 분야 신산업 선점·육성을 위해 특구재단 주도로 출범했고 전 세계 바이오플라스틱 분야 1, 2위 기업인 네이처웍스, 토탈코비온 등을 비롯해 CJ제일제당, 스타벅스, LG화학, SKC, 현대 EP, 동원시스템즈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도 참여했다.

또한, 국내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시험 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인천대, 한국플라스틱산업협동조합, 바이오플라스틱협회 및 인천특구 기업인 에코패키지솔루션 등도 참여해 생산부터 사용, 처리까지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의 전주기 공동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플라스틱 미래테크포럼’은 향후 △바이오플라스틱 순환기술(재활용, 퇴비화, 혐기성 소화) 실증화 △바이오플라스틱 분야 특구기업의 공동연구 및 시장진출 지원 △산업에 대한 제도개선 및 정책 제언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특구재단 강병삼 이사장은 “이번 포럼 출범은 연구개발특구 뿐만 아니라 과기부 차원에서도 민관협력을 통하여 신기술 실증·검증부터 시장진출까지 협업하는 최초의 사례가 될 전망”이라며 “포럼이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조직이 되기위하여 산업기술 연구조합으로 확대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