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1년생 기대수명 83.6세…‘암’ 없어진다면 기대수명 3.5년↑

통계청, ‘2021 생명표’ 발표

전년보다 기대수명 0.1년↑…매년 증가세

지난해 60세 남자 23.5년, 여자 28.4년 더 산다

이미지=통계청이미지=통계청




2021년에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83.6년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80.6년, 여자는 86.6년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기대수명이 6년 더 길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은 83.6년으로 집계됐다. 기대수명은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0세 아이가 앞으로 얼마나 살 수 있을지 추정한 수치다.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70년 이래 매년 늘어나고 있다.



2021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1년 전보다 0.1년 늘었고, 10년 전과 비교하면 3.0년, 20년 전인 2001년생과 비교하면 6.5년 증가했다. 기대수명의 남녀 격차는 6년으로, 1985년(8.6년)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관련기사



지난해 태어난 아이가 100살까지 살 확률은 여자가 5.5%, 남자가 1.4%로 나타났다. 20년 전인 2001년에 태어난 출생아의 경우는 100살까지 생존할 확률이 남자, 여자 모두 1%가 채 안 됐는데, 20년 만에 4배 넘게 늘어났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남자는 2.9년, 여자는 3.5년 더 높았다. 국가별로 보면 남자 기대수명은 OECD 38개국 중 9위였으며, 여자 기대수명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이미지=통계청이미지=통계청


남녀 모두 주요 사망원인 1위는 ‘암’이었다. 지난해 태어난 아이가 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남자가 25.4%, 여자가 15.6%였다. 남자의 주요 사망원인은 암(25.4%), 폐렴(10%), 심장질환(9.5%), 뇌혈관질환(6.6%) 등의 순이었고, 여자는 암(15.6%), 심장질환(12.3%), 폐렴(8.1%), 뇌혈관질환(7.7%) 등의 순이었다. 암이 없어진다면 지난해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남자는 4.3년, 여자는 2.6년 늘어나며, 남녀 전체로 보면 평균 3.5년 증가한다.

특정 연령층의 사람이 앞으로 더 살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수인 기대여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60세 남자는 장차 23.5년, 여자는 28.4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년 대비 남녀 모두 0.1년 증가했으며 10년 전과 비교하면 2.4년 늘어난 수치다.


정혜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