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외교부, 강제징용 해법 관련 "日과 과거보다 격차 좁혀"

임수석 대변인 "앞으로도 각계각층 의견 수렴"

"한일 해법 종결짓고 피해자 의견수렴 않을 것"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이 13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이 13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외교부가 13일 강제징용 피해 배상 해법과 관련해 “(일본과) 과거에 비해 좀 더 격차를 좁혀 왔다”고 재차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강제동원 해결책과 관련해서 진전된 안이 있느냐’는 물음에 “한일 양국 간 긴밀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서 어느 정도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그간의 간격을 좁혀왔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어 “앞으로도 우리 국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나가면서 한일 양국 간의 외교채널을 통해서 계속 긴밀히 소통하고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달 29일 강제징용 피해 배상안에 대해 “(일본과의 입장 차가) 과거보다 좁혀진 게 사실”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관련기사



외교부는 최근 박진 장관이 대일 외교에 식견을 가진 원로 인사 4명과 ‘현인회의’를 진행하는 등 강제징용 피해 배상 방안과 관련한 국내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 작업에 재시동을 건 상황이다. 서민정 신임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은 이달 7일 광주를 찾아 피해자 측 인사들을 직접 면담하기도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시 서 국장이 “지금까지 한일 간의 협의 결과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설명을 했고 피해자 측의 의견을 경청했다”며 “앞으로도 피해자 측뿐 아니라 각계각층의 의견을 계속 수렴하면서 한일 간의 어떤 외교적 협의도 가속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일 간 미리 해법을 종결 짓고 나서 피해자 측 의견을 수렴하거나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했다.

한편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과 민간 싱크탱크 세종연구소가 이달 14일 공동 개최할 예정이었던 ‘한일관계 개선 민관대토론회’ 일정은 잠정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강제징용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서훈 추진에 외교부가 제동을 건 여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