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경수 사면·복권 놓고 셈법 갈리는 野…친문 '환영' 친명은 '글쎄'

구심점 잃은 친문, 복권까지 주장

친명은 이재명 대항마 등장 경계감

與는 野 분열 촉진 계기될지 촉각

김경수 "MB 들러리 되지 않겠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연합뉴스김경수 전 경남지사. 연합뉴스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거론하는 정치권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별사면 대상에 이명박 전 대통령과 함께 김 전 지사가 포함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김 전 지사의 ‘사면이냐 복권이냐’를 두고 여야 모두 정치적 셈법이 분주해서다. 대선 이후 구심점을 잃은 친문들은 김 전 지사의 사면뿐만 아니라 복권을 주장하고 있고 친명 입장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맞설 대중 정치인의 부활에 경계감을 갖는 눈치다. 물론 여권도 김 전 지사 복권이 야권 분열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지, 오히려 야권에 유력 정치인을 띄우는 악수가 될지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①복권 없는 사면…정치력 소실=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13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이 전 대통령 사면을 위해 김 전 지사를 끼워 넣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며 “공정·형평성에 맞게 김 전 지사의 사면과 복권도 동시에 추진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같은 당 기동민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김 전 지사가) MB 사면의 들러리가 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전해 왔다”고 공개했다.

관련기사



야권이 김 전 지사의 ‘복권’에 민감한 것은 정치적 소구력이 상실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김 전 지사가 복권 없이 사면되면 2028년 5월까지 피선거권이 박탈된다. 결국 2024년 4월 총선, 2027년 3월 대선에 출마할 수 없다. 물론 당직 선거에는 출마할 수 있지만 복권 없이는 민주당 전체 선거를 지휘할 정치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②친문-더미래-민평련 움직이나=정치권에서는 김 전 지사의 입장을 전한 인물이 친문계가 아닌 기 의원이라는 점에도 집중하고 있다. 박원순계로 꼽혀온 기 의원은 민주당 최대 의원 연구 모임인 더미래의 핵심 인물로 직전까지 대표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더미래 중심으로 8월 전당대회 당시 이재명 대항마를 물색하며 7090세대론에 불을 지피기도 했다.

기 의원이 또 민주평화연대 그룹이라는 점에서 현재 관망 중인 민평련까지 비명노선으로 옮겨갈 경우 이 대표의 입지는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김 전 지사의 복귀는 대중 정치인이 부재한 친문에는 기회가 될 수 있고 각자도생 중인 더미래와 민평련에도 명분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③與, 金복권 유불리 고심=여권은 복권의 파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국민의힘의 한 중진 의원은 “김 전 지사가 복권되면 민주당 분열이 가속화될 수 있어 나쁠 게 없다”고 판단했다. 반면 다른 영남권 의원은 “사법 리스크로 얼룩진 이 대표 체제로 총선을 치러야 여권에 유리하다”며 “야권의 대선주자를 키워주는 셈이 된다”고 우려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28일 0시, 특별사면을 할 예정이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