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休] 발길이 머물면 예술에 취하고…어둠이 내리면 왕처럼 잠든다

■전북 전주·완주 ‘유니크베뉴’

   조선왕조 전주 이씨 가문 고향 머물며

   고품격 한옥호텔 '왕의지밀'서 하룻밤

   예술 공장으로 거듭난 카세트 공장선

   문화 체험 등으로 추억의 한 페이지 써

  'BTS성지' 오성한옥마을 찾아 인생샷도

여행객들이 폐공장에서 예술 무대로 거듭난 팔복예술공장을 살펴보고 있다.여행객들이 폐공장에서 예술 무대로 거듭난 팔복예술공장을 살펴보고 있다.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의 야외공연장 모습.한국소리문화의전당의 야외공연장 모습.


수도 서울에서만 외국인들을 불러모아 국제회의·전시·공연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또 다른 편견이다. 각 지역들은 독자적인 시설과 함께 고유한 자연환경을 내세워 차세대 관광이라는 마이스(MICE) 산업에 도전하고 있다. 이에 뒷받침하는 것이 ‘유니크 베뉴’다. 유니크 베뉴란 지역 특색의 콘셉트나 매력을 가진 호텔·컨벤션 같은 마이스 시설 및 호텔·문화시설 등을 말한다.



이번에는 기존 전통문화 유산에 덧붙여 첨단이자 고유한 유니크 베뉴를 기반으로 지역 마이스 산업 강자에 도전하고 있는 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을 찾았다.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가 지정한 국가급 ‘코리아 유니크 베뉴’ 외에 전북 등 지자체들도 지역급 유니크 베뉴를 육성하면서 마이스 산업 도전에 나서고 있다.

우선 전주와 완주에는 국가급 ‘코리아 유니크 베뉴’인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왕의지밀이 있다. 각각 복합 문화 공간과 호텔이다. 또 지자체 차원의 오성한옥마을·팔복예술공장·산속등대·술테마박물관 등이 국내외 손님들을 기다리고 있다.

전통한옥 호텔 왕의지밀이 환히 빛나고 있다.전통한옥 호텔 왕의지밀이 환히 빛나고 있다.


전시 및 회의 공간인 전주시 덕진구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은 국내 두 번째 규모로 예향 전북의 예술과 문화를 대표한다. 주요 시설로는 2000석 규모의 모악당을 비롯해 600석 규모의 연지홀, 200석의 명인홀이 있다. 대형콘서트는 7000석 규모 야외공연장에서 가능하다. 국제회의에서 6개 언어 동시통역이 가능하다고 하니 어느 도시 부럽지 않다.

강현구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부장은 “소리문화의 전당은 호남 최대 복합 문화 예술 시설로 규모 면에서는 서울 예술의전당에 이어 두 번째”라며 “판소리로 유명한 예향 전북의 이미지를 살려 ‘소리’를 테마로 이름을 지었다”고 말했다.

전통 시대 왕의 침소를 뜻하는 ‘지밀(至密)’을 품은 전주 완산구 왕의지밀은 고품격 한옥 호텔이다. 전주는 조선왕조 이 씨 가문의 고향이었다. 한옥 객실들이 조선시대 국왕의 이름들을 딴 것이 독특하다. 객실 내부는 몸에 좋은 편백나무를 사용해 자고 나면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왕의지밀 호텔은 충무공홀·훈민정음홀·정음관홀·사임당홀 등 세미나실도 운영하고 있다. 호텔 뒤 기림봉 둘레길은 단정한 산책 코스이기도 하다.

여행객들이 오성한옥마을에서 바라본 종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방탄소년단(BTS)이 이곳에서 화보와 영상을 찍어 ‘BTS 성지’로도 불린다.여행객들이 오성한옥마을에서 바라본 종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방탄소년단(BTS)이 이곳에서 화보와 영상을 찍어 ‘BTS 성지’로도 불린다.


오성한옥마을이 'BTS 성지'임을 알리는 안내판.오성한옥마을이 'BTS 성지'임을 알리는 안내판.


오성한옥마을의 한 한옥 모슴.오성한옥마을의 한 한옥 모슴.



마이스 산업이 제대로 되려면 전시·회의실와 숙소뿐만 아니라 관광 체험도 필수다. 이런 경우 완주군 소양면 오성한옥마을을 빼놓으면 섭섭하다. 이곳은 전북 자체의 ‘유니크 베뉴’로 지정돼 있다. 오성한옥마을은 종남산(608m) 아래 숙박이 가능하고 문화 체험도 할 수 있는 한옥 22채가 옹기종기 모여 형성됐다. 원래부터 한옥마을은 아니고 대부분 철거 위기에 몰린 전국 각지의 수백 년 된 고택을 해체해 옮겨 질서 정연하게 다시 지은 것이다.

관련기사



마을 모습에서 옛스러움과 멋짐이 함께 묻어나는 이유다. 방탄소년단(BTS)이 몇 해 전 여기에 머물며 화보와 영상을 촬영한 덕분에 더 유명해졌다. 이후 ‘BTS 성지’로 뜨면서 전주와 완주를 찾은 많은 MZ 세대 여행자들의 순례 대상이 됐다. 아원고택과 소양고택 등의 주택을 활용한 아트페어가 볼만하고 또 카페에서는 북콘서트에 참여할 수 있다.

팔복예술공장의 ‘써니’ 인형 모습.팔복예술공장의 ‘써니’ 인형 모습.


한옥마을이 전통을 현대화시켰다면 팔복예술공장은 산업화 시대를 현대화시켰다. 역시 지역 유니크 베뉴다. 전주 덕진구 팔복동에 있는 이 공장은 1979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카세트 테이프를 생산하던 공장이었다. 워크맨이 사라지고 CD 시장이 성장하며 공장은 문을 닫았다. 그동안 방치된 옛 공장터가 예술가와 시민·기업과 주민의 노력으로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거듭난 것이 현재 모습이다.

팔복예술공장 안에 ‘써니’라는 카페가 있다. 지역 주민들이 운영하고 있는 곳으로 카페 한쪽 벽면에 자리 잡은 거대한 여공 인형이 인상적이다. 공장이 가동될 때 여공들이 입었던 나팔바지와 남방을 하고 있다.

완주 소양면 산속등대도 폐공장에 새 생명을 불어 넣은 곳이다. 폐쇄된 제지 공장이 미술관, 아이들의 문화예술체험공간으로 재창조됐다. 옛 공장의 굴뚝을 재활용해서 만든 높이 33m의 ‘등대’가 있어 이름도 산속등대로 불린다. 또 완주군 구이면 술테마박물관은 전통주부터 이어지는 우리 술의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술잔을 나누는 모습의 조각상이 술테마박물관 앞에 놓여 있다.술잔을 나누는 모습의 조각상이 술테마박물관 앞에 놓여 있다.


김현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관광본부장은 “앞으로 마이스 관광 승패는 참가자들이 어떤 경험이 했는가가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12일 공개한 제6차 관광진흥기본계획(2023~2027년)에서 현재 39개인 ‘코리아 유니크 베뉴’의 지정을 확대해 2027년까지 50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지방 마이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 현재 ‘국제회의’ 기준을 기존 5개국 이상, 회의 참가자 300명 이상에서 ‘3개국 이상, 참가자 100명 이상’으로 완화했다.

글·사진(전주·완주)=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