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푸드테크 유니콘기업 2→30곳으로…1000억 규모 전용 기금 조성

정부,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 발표

푸드테크 기업 투자 유치·R&D 지원

푸드테크 인재 5년 뒤 3000명 양성

정황근(오른쪽)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푸드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민·당·정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정황근(오른쪽)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푸드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민·당·정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푸드테크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을 현재 2곳에서 5년 뒤 30곳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1000억 원 규모의 푸드테크 전용 기금을 조성하고, 푸드테크 관련 인재 3000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푸드테크는 식품 생산과 유통, 소비 전 과정에 로봇 등 첨단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산업 분야로 식물성 대체식품 및 서빙 로봇 등이 대표적인 푸드테크 제품이다.

관련기사



이번 방안은 크게 △푸드테크 기업 육성 △푸드테크 산업 저변 확대 △푸드테크 산업 성장기반 마련책으로 구성됐다. 정부는 이번에 발표된 방안을 추진하며 현재 2곳(컬리, 오아시스)뿐인 푸드테크 유니콘 기업을 늘리고, 2027년까지 30곳, 푸드테크 관련 수출 규모를 같은 기간 5억 달러에서 20억 달러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먼저 푸드테크 기업 육성을 위한 전용 기금을 조성해 2027년까지 1000억 원 규모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최근 5년 간 건당 평균 투자 금액이 10억 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1000억 원 규모의 펀드로 총 100건의 투자가 가능하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또 내년 상반기 중 ‘푸드테크 투자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기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고, 푸드테크 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푸드테크 수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및 컨설팅 지원 방안도 포함됐다. 국가별 선호도를 고려한 유망 상품 개발을 돕는 등 각 기업이 타겟으로 하는 국가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또 해외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통한 판촉을 확대하고 해외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를 돕는다.

식품과 인공지능(AI), 로봇기술 등에 두루 능통한 푸드테크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주요 대학에 관련 교육 과정을 신설한다. 푸드테크 계약학과 역시 현재 4개 교에서 2027년 12개 교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푸드테크 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테크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해 보다 촘촘한 산업 지원 근거를 마련할 것”이라며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로봇 보도주행 허용 등 푸드테크 관련 각종 기준과 제도도 정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