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내 27번째 원전 ‘신한울 1호기’ 드디어 준공…상업운전 돌입

기술자립 성공한 ‘차세대 한국형 원전’…발전 용량 1400㎿

신한울 1, 2호기 전경. 제공=경북도신한울 1, 2호기 전경. 제공=경북도




경북의 13번째 원전인 신한울 원전 1호기가 착공 12년 만인 14일 준공식을 갖고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14일 경북도에 따르면 국내 27번째 원전인 신한울 1호기는 냉각재 펌프(RCP)와 원전계측 제어시스템(MMIS) 등 핵심 설비와 코드 등을 모두 국산화해 기술적으로 자립한 ‘차세대 한국형 원전’이다.

2010년 착공해 10년 만인 2020년 완공하고 1년 6개월의 시운전 끝에 상업운전에 들어간 것이다.



같은 노형의 원전이 앞서 아랍에미리트(UAE) 수출에 성공했고 현재 체코와 폴란드 등과 수출 협의가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당초 2017년 준공 후 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경주·포항 지진에 따른 부지 안전성 강화 조치, 기자재 품질 강화 및 피동촉매형수소재결합기(PAR) 품질검증 등의 이유로 일정이 지연됐다.

신한울 1호기의 상업운전으로 올겨울 전력 수급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신한울 1호기는 발전 용량 1400㎿(메가와트)로 연간 예상 발전량은 약 1만 424GWh(기가와트시)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는 경북의 전력사용량의 23.5%에 달하는 규모로, 국내 총 발전량의 약 1.8%를 차지할 전망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신한울 1호기 준공으로 경북은 국내 원전 25기 중 13기의 원전이 가동하는 국내 최대의 원전 밀집지역으로 국가 전력수급계획과 에너지 정책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지난 정부에서 중단했던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재개를 통해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공정률 99%인 신한울 2호기도 내년 초 운영허가를 취득하고 9월쯤 상업운전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울진=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