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대한 미국의 반도체 견제가 심화하면서 한국 반도체 기업이 중국 내 장비 매각 계획을 수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뜩이나 업계 불황으로 비상경영에 돌입한 국내 기업들이 벌써부터 중국 공장 운영에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6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국내 핵심 반도체 기업 A사는 최근 중국 내 반도체 유휴 장비 매각 과정에서 중국 협력 업체들 대신 국내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A사는 올 9월 반도체 팹(fab·생산 공장) 장비 37대와 후공정 장비 15대를 협력 업체 대상으로 매각한다는 공고를 냈다. 매각 장비 중에는 미국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 네덜란드 ASML의 장비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10월까지 참가 신청 접수와 장비 검수를 진행한 뒤 지난달 입찰을 시행하고 현재 추후 절차를 밟고 있다. 공고 직후인 10월 7일 미국 상무부는 중국 기업에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을 금지하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제재안 발표 이후 국내 업체가 중국 내 장비 처분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기업은 1년간 적용이 유예된 데다 이번 매각 장비들이 구형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라는 점에서 이번 매각은 미국 제재의 직접적 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A사는 혹시 모를 분쟁 가능성을 고려해 중국 내 협력 업체 대신 장비 반출·운송 비용 등을 매입 업체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국내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가뜩이나 업계 불황으로 긴축 경영에 나선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고가의 운송 비용까지 지불하면서 장비를 구매하기가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중국 간 갈등의 유탄을 맞기 시작했다며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장비 매각 등으로 재무 건전성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상황에서 양국의 반도체 갈등에 제대로 된 경영 활동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조중휘 인천대 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유휴 장비를 선제적으로 매각해야 할 지금 같은 상황에서 기업의 부담이 나타날 수 있다”며 “경영 활동에 대한 제재가 겹치면서 상황마다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