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과학 인재 만난 尹 "韓, 노벨상 나올때 됐다"

"자유로운 분위기서 과학 꽃피워"

"애국심만 말고 인류 전체 생각을"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청년 과학 인재들과 만나 “여러분 중 많은 노벨상과 필즈상 수상자가 나올 것”이라며 정부가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올해 대통령과학장학생,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를 만나 “노벨상이 나올 때가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행사에는 대통령과학장학생 140명,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 44명이 참석해 1시간 동안 윤 대통령 내외를 만났다.

윤 대통령은 격려사에서 “취임 후 많은 행사와 모임을 했지만 여러분을 만난 이 자리처럼 기쁘고 뿌듯한 자리가 없었다”고 말했다. 1960년생인 윤 대통령은 고등학생 시절 한국의 첫 올림픽 금메달이 나왔다고 설명하며 “지금은 한 번 나가면 (메달을) 수십 개씩 따지 않느냐. 우리 과학 수준도 이제 (수상이) 임계점에 다다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여러분이 노벨상을 받았다고 해도 대통령이 이러한 자리를 굳이 만들지 않아도 될 정도로 많이 나올 것”이라며 격려했다.



윤 대통령은 또 “그 나라의 수준은 정확히 과학 수준과 정비례한다”며 “국정을 과학에 기반해 운영한다는 것은 전문가를 중시하고 진실을 중시하고 의사 결정의 합리성을 중시한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윤 대통령 특히 연구의 자율성과 관련해 “동구권, 구소련도 상당한 수준의 과학을 이뤄냈지만 국가가 이끌어온 것이라 한계가 있다”며 “(국가가) 결정하고 장악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대학·연구소 등 모든 분야에서 자유롭게 연구·협력하는 분위기가 될 때 과학이 꽃 피울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여러분이 어디 있든 간에 과학이 특정 국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인류 전체를 위한 것이라는 마음을 갖고 너무 애국심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며 “여러분의 연구·협력 성과가 전 인류를 위해 큰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고 독려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뽑힌 140명에게 장학 증서와 메달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 44명에게 기념패와 부상을 직접 수여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주요 행사를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일주일간 영빈관에서 진행된 주요 행사는 제1회 국정과제점검회의(15일), 청년 3대 개혁 간담회(20일), 제12차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제1차 국민경제자문회의(21일), 이날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 등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에서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들에게 기념패와 스카프를 수여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에서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들에게 기념패와 스카프를 수여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