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푸틴, 친러 정상에 금반지 선물…“‘반지의 제왕’ 코스프레” 조롱 쏟아져

CIS 8개국 수반에게 금반지 선물

“절대반지 아닌 무기력 반지”

“혼자끼고 다닐 듯”

트위터 캡처트위터 캡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7일 옛 CIS 국가 지도자들과 상트페테르부르크 보리스 옐친 도서관에서 가진 정상회담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EPA연합뉴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7일 옛 CIS 국가 지도자들과 상트페테르부르크 보리스 옐친 도서관에서 가진 정상회담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EPA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옛 소련 국가모임인 독립국가연합(CIS) 지도자 8명에게 금반지를 선물하며 ‘반지의 제왕’ 행세를 해 세계의 조롱거리가 됐다.



28일(현지 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26~27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8개국 지도자와 정상회담을 했다. 이 자리에서 푸틴 대통령은 정상들에게 ‘러시아’, ‘해피 뉴 이어 2023’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금반지를 전달했다. 마지막 9번째 반지는 푸틴 대통령 본인이 간직했다.

관련기사



9개의 반지는 J.R.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서 절대악 사우론이 세상을 지배하기 위해 인간 왕들에게 자신의 탐욕이 담긴 반지 9개를 나눠주고 노예로 삼은 장면을 연상케 한다. AFP는 선물을 받은 정상 가운데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만이 반지를 낀 모습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벨라루스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러시아와 손을 잡은 동유럽 국가다.

정치 평론가들은 푸틴의 9개 반지가 반지의 제왕 속 ‘절대반지’를 흉내넨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기력의(powerlessness) 반지’라며 냉소섞인 조롱을 쏟아내고 있다.

러시아 정치 전문가 예카테리나 슐만은 “푸틴 대통령이 반지를 나눠준 것은 ‘반지의 제왕’을 의식하고 의도적으로 벌인 일”이라며 “반지가 푸틴 대통령의 ‘헛된 꿈’을 상징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했다.

러시아 정치 평론가 율리아 라티니나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고립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줬다”고 꼬집었다. 라티니나는 “이 반지를 끼는 지도자의 국가는 미치광이가 다스리는 어둠 속으로 떨어질 것”이라며 “푸틴 대통령은 이 반지를 혼자서만 끼고 다닐 것이며, 그마저도 오래 가지는 못할 것"이라고 직격했다.

올렉시 곤차렌코 우크라이나 의원은 “푸틴은 21세기 히틀러가 된 것도 모자라 이제는 반지의 제왕을 연기하기로 한 모양”이라고 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를 ‘반지의 제왕’ 속 사우론의 왕국 ‘모르도르’(어둠의 땅), 러시아군을 사우론의 군대 ‘오크’라고 불러왔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