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과학기술원, 항생제 내성균 대비 인공지능 모델 개발

남호정 교수 연구팀, 향균 효과 정확도↑

펩타이드 분자를 빠르게 발굴하는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사진 제공=광주과학기술원펩타이드 분자를 빠르게 발굴하는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사진 제공=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연구진이 항균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 분자를 빠르게 발굴해주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해 화제다.



다가오는 항생제 내성균 대유행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신약 개발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펩타이드 분자 기반의 항생제 개발 초기 단계에서 활용돼 신약 개발 시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5일 광주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남호정 교수 연구팀(이한솔 석박통합과정생, 이송연 박사과정생, 이인구 박사)은 항균 펩타이드 치료제 개발을 위한 펩타이드 분자의 항균 효과를 기존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예측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현재까지 공개된 다양한 예측 모델들과 비교해 실험 조건에 따라 최소 2% 최대 13% 더 높은 항균성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불가능했던 항균성 연관 주요 펩타이드 부분 서열 정보를 제공해 예측 결과의 해석성 기능을 더했다.



특히 기존 항균 펩타이드 활성 예측 연구들에서는 사용되지 않던 대용량 단백질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모델을 항균 펩타이드 관련 서열 데이터로 미세 조정을 실행한 결과 기존 관련 연구들보다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관련기사



또한 단백질 서열의 주요 특성을 탐지하는 어텐션 기술을 사용해 항균 효과와 연관된 아미노산 서열의 경향성을 찾았다.

이를 통해 제안된 모델이 항균 펩타이드 활성과 관련된 주요 부분 구조를 올바르게 탐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모델의 신뢰성과 해석성을 검증했다.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은 인간과 동물의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새로운 지평을 열었지만 무분별한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해 항생제 내성균이 출현하게 됐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항생제 플랫폼인 항균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항균 펩타이드는 생명체의 모든 영역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작은 단백질로,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에서도 뛰어난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어 새로운 내성균의 출현도 거의 유발하지 않아 차세대 항생물질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박테리아, 바이러스·곰팡이에 의한 감염자나 암 환자 치료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남호정 교수는 “이번 성과는 단백질 서열의 일반적인 특성과 항균 펩타이드의 특이적인 정보를 함께 훈련해 펩타이드 분자에 대한 항균 효과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항균 효과에 관여하는 주요 펩타이드 부분 서열을 제공해 주는 기술이다”고 말했다.


광주=박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