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작년 24곳 '국내 유턴'…투자계획 첫 1조 돌파

[해외진출기업 국내복귀 동향]

中서만 15개사…전체의 62% 차지

전기·전자·車 등 주력업종이 대다수





지난해 국내에 복귀한 해외 진출 기업(유턴 기업)의 투자 계획 규모가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유턴 기업은 24개사로 전년 대비 2곳이 늘었다. 이들 기업의 투자 계획 규모는 43.6% 증가해 1조 1089억 원에 달했다. 기업당 평균 투자 계획 금액은 462억 10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55.5% 늘었다. 투자 계획 규모가 500억 원 이상인 기업 비중도 2019년 7.1%에서 지난해 29.2%로 계속 증가 추세다.

관련기사



특히 반도체 같은 첨단·공급망 핵심 기업과 중견·대기업의 복귀가 늘어 유턴 기업의 질적 수준이 높아졌다는 것이 산업부의 분석이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11개사), 자동차(5개사), 기계(2개사) 등 주력 업종이 전체 복귀 기업의 83.3%를 차지했다. 지난해 유턴 기업 중 중견·대기업의 비중은 37.5%로 역대 최고였다.

다만 전기·전자, 자동차 등 기술·자본집약적 업종의 비중이 늘어 고용 계획 규모는 전년 대비 21.3% 줄었다. 100명 이상을 고용하는 대규모 고용 기업 비중은 2019년 0%에서 지난해 33.3%로 크게 늘었지만 기업당 평균 고용 계획 규모가 74.8명으로 전년 대비 14.7%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과 베트남으로부터 복귀한 기업이 약 80%를 차지했다. 중국에서 15개사가 복귀해 전체의 62%를 차지했고 베트남에서 4개사가 복귀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조사에 따르면 유턴 기업들은 해외 시장의 부정 요인으로 ‘인건비 등 해외 생산 원가 상승’ ‘현지 경영 악화’ 등을, 국내 시장의 긍정 요인으로 ‘내수 시장 확대’를 꼽았다.

산업부는 어려운 대내외 투자 환경 속에서도 제도 개선 노력을 통해 양호한 유턴 기업 투자 유치 성과를 낸 것으로 자평했다. 정부는 첨단·공급망 핵심 업종의 해외 사업장 축소 의무를 면제하고, 신·증축 없이 기존 국내 공장 유휴 공간에 설비투자를 하는 경우에도 국내 복귀를 인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올해는 570억 원 규모의 투자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활용해 유턴 기업을 적극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