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최수문기자의 트래블로그] 지역과 중앙의 공감·협력으로 ‘지방소멸’ 난제 풀자


“경상남도 함양은 조선 시대에 ‘좌안동 우함양’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곳이었어요. 안동에 ‘서원’이 11개 있었는데 함양에는 13개가 있었지요. 과거 급제자가 많아 주변에서 함양으로 공부하러 오기도 했어요.” 지난해 9월 함양에서 팸투어를 하고 있는 여행 기자들에게 진병영 함양군수가 한 말이다.

함양의 인문학적·자연적 가치가 어디에도 뒤지지 않는다는 자부심이 담겨 있다. 진 군수는 “함양을 잘 둘러보고 관광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군수가 직접 나선 것은 이 지역이 지방 소멸 우려가 있는 ‘인구 감소 지역’에 해당하는 등 절박한 상황 때문이다.

진 군수는 이달 1일 공개한 올해 신년사에서도 “현재 우리 군은 출산율 감소와 노인 인구 증가 등으로 지방 소멸 우려 지역에 해당해 지자체 존립에 적색 경고등이 켜진 상태”라며 군민의 하나 된 힘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함양군수의 발언이 다시 생각난 것은 4일 문화체육관광부의 올해 대통령 업무 보고 관련 언론 브리핑에서다. 함양군이 지방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펼치는 정책의 많은 부분이 문체부 소관이다. 이날 문체부는 업무 보고에서 ‘문화의 힘으로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비전을 내놓았다.

관련기사



문화에서는 ‘대한민국 문화 도시’를 지정하는 동시에 ‘이건희 소장품 순회전’ 등 지역별 기획 프로그램을 강화하면서 지역 자산을 활용한 ‘문화 특화 클러스터’를 육성하겠다고 제시했다. 또 관광에서는 남부권에 ‘K관광 휴양 벨트’를 조성하고 워케이션, 야간 관광 등 여행 수요를 촉진하겠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 229곳 가운데 함양군을 포함해 무려 89곳이 ‘인구 감소 지역’이다. 이런 난제를 문체부 정책으로 풀 수 있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박보균 장관은 “문체부가 중시하는 것은 문화로 이러한 추세로 꺾어보자(는 것이다). 문화라는 다양한 지역 고유의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지원해주고 그 지역만의 매력적인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 부분에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서 다양한 지원 정책을 과거와 달리 펼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분야는 문화만이 아니라 여러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국민적인 힘을 얻어 추진할 어려운 과제로 문체부는 최선을 다해 협업해나겠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의 언급에서 주목되는 것은 “과거와 달리”라는 부분이다. 차기 정부가 또 윤석열 정부를 탓하지 않도록 이제는 획기적인 문화·관광 정책으로 지역 균형 발전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지역 현장과 중앙정부의 공감과 협력이 더욱 필요한 시기다.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