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외교부 "한국인 단기비자 발급 중단은 대등한 조치"

중국이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 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국 국민에 대한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했다. 10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중국비자신청서비스센터 모습. 연합뉴스중국이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 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국 국민에 대한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했다. 10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중국비자신청서비스센터 모습. 연합뉴스




중국은 10일 한국 국민의 단기비자 발급을 전격 중단했다.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에 대한 보복 조치다. 이를 두고 중국은 ‘대등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비자 발급 중단 배경에 대해 “일부 국가가 과학적 사실과 자국의 감염병 발생 상황을 외면하고 중국을 겨냥해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를 고집하고 있다”며 “중국은 대등한 조치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정 국가를 콕 집어 말하지는 않았지만, 한국 국민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 전면 중단이 한국의 방역 강화에 대한 상응 조치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왕 대변인은 “중국이 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를 발표한 뒤 일부 국가는 중국발 입국자 제한 조치를 발표했다”며 “중국은 최대한 성의를 갖고 관련 국가와 충분히 소통했고 방역 상황과 감염병 상황을 상세히 소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관련 국가들이 사실에서 출발해 과학적이고 적절한 방역 조처를 할 것을 다시 한번 호소한다”며 “정치적 농간을 부려서는 안 되고 차별적인 방법이 없어야 하며 국가 간 정상적인 인적교류와 교류 협력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중국 정부 지시에 따라 이날부터 주한 중국대사관 및 총영사관은 한국 국민의 중국 방문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는 한국이 중국에 대한 차별적인 입국 제한 조치 취소 상황에 따라 조정할 예정이라며 한국의 입국 규제에 대한 보복 조치임을 분명히 밝혔다.

최근 한국 정부는 중국 내 급격한 코로나19 확산세를 고려해 중국발 한국행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항공편 추가 증편을 제한했다. 또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서는 코로나 검사를 의무화했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