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공급망 인권관리’ 5위…아시아 기업 중 최고

1위 HPE·2위 인텔이 차지





삼성전자(005930)가 글로벌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업체 가운데 공급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권침해에 비교적 잘 대처하는 기업 중 하나로 평가됐다.



15일 국제 비영리기구 노더체인(KnowTheChain)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ICT 상장 기업 60곳을 대상으로 2022년 공급망 인권 관리를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는 100점 만점에 46점을 받아 HP와 공동 5위에 올랐다.

관련기사



기업의 상품 공급 과정을 감시하는 노더체인은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 지침(UNGPs)’에 기반해 지배구조, 위험성 평가, 구매 관행, 근로자 의견 청취, 채용 등 7개 항목을 평가해 격년으로 발표한다. 노더체인은 삼성전자가 아시아 기반 회사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전했다.

다만 2020년 순위(2위)와 비교하면 3계단 내려왔다. 삼성전자는 앞서 2016년 7위, 2018년 6위였고 2020년에는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에 이어 2위까지 올랐다.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63점)가 1위 자리를 차지했고 인텔(60점), 시스코(55점), 애플(52점) 등이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는 세부 항목별로 지배구조 75점, 위험성 평가 46점, 채용 43점, 대처 40점, 근로자 의견 청취 38점, 모니터링 35점, 구매 관행 25점 등을 받았다. 노더체인은 “삼성전자는 2020년부터 채용, 근로자 의견 청취 등의 주제를 개선해 공급망 내 근로자에게 부과되는 채용 수수료 방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공개하고 고충 처리 핫라인 평가에 공급 업체 근로자를 참여시켰다”고 설명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