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국장 “집값 조정과 부채 디레버리징은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

홍경식 통화정책국장 블로그서 밝혀

단기간 집값 급등해 구조 취약성 높여

물가 예측 어려워 긴축정책으로 대응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연합뉴스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연합뉴스




“중장기 시계에서 어느 정도의 주택가격 조정과 가계부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은 우리 경제가 건전한 발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19일 홍경식 한국은행 통화정책국장은 한은 블로그를 통해 “그동안 국내 주택가격이 단기간 내 급등한 측면이 있고 가계부채 누증과 연계되면서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이어 홍 국장은 “특히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주요국과 달리 지난 20여년간 디레버리징 없이 계속 증가해 지금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이 100%를 상회하고 있다”라며 “하지만 주택시장이 경착륙될 경우 부동산 익스포저가 큰 일부 비은행금융기관의 신용·유동성 리스크를 유발할 수도 있는 만큼 이러한 부분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통화정책 운용 시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5.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3번째로 높다.

홍 국장은 “그동안 국내 주택가격이 단기간 내 급등한 측면이 있고 가계부채 누증과 연계되면서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해왔기 때문에 중장기 시계에서 어느 정도의 주택 가격 조정과 디레버리징은 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지속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주요국과 달리 지난 20년간 디레버리징 없이 계속 증가해 지금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105.4%(작년 9월말)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높다”고 지적했다.

홍 국장은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이어나가겠다고 한 것은 물가와 함께 경기, 금융안정 측면 리스크를 종합 고려한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번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금리 인상 기조’ 문구를 ‘긴축 기조’로 바꾸면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한 상태다.

홍 국장은 “소비자물가가 올해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등 현재로서는 물가 상승률이 언제쯤 그리고 어떤 속도로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지, 아니면 재차 상승할지 예단하기 어렵다”라며 “물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여전한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경기 상황을 보면 올해 성장률이 수출 부진과 소비 회복 모멘텀 약화로 지난해보다 상당 폭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