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한 상상력으로 디스토피아 세계관을 구축한 연상호 감독이 SF 장르에 첫 도전했다. 어릴 적 SF 소설을 처음 접하고 빠져들었던 소년 연상호가 가득하다. 먼 미래지만 과거의 향수가 있고, 낯설지만 익숙한 정서가 있다. 연 감독이 대중에게 전달하고 싶었던 건 화려한 그림이 아니라 보편적인 이야기다.
넷플릭스 영화 ‘정이’(감독 연상호)는 급격한 기후변화로 폐허가 된 지구를 벗어나 이주한 쉘터에서 발생한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설적인 용병 정이(김현주)의 뇌를 복제, 최고의 전투 A.I.를 개발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SF물이다. 만화에서 영화, 드라마로 상상력의 놀이터를 확장하고 있는 연 감독의 신세계다.
좀비부터 지옥, 초능력 등 신선한 소재로 대중을 놀라게 했던 연 감독의 SF물은 기대감을 높이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A.I.의 존재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는 것은 쉽게 와닿지 않는다. 연 감독의 장인어른까지도 ‘너무 허무맹랑한 이야기 아닌가’라고 했을 정도다.
“좀비도 버티셨던 분이 ‘갑자기 로봇?’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만큼 한국에서 SF가 낯선 면이 있는 거죠. 영화를 만든 저에게도 한국말을 하는 로봇은 낯설어요. 대중에게는 더 낯설 거라고 생각했죠. 그러면 이 낯선 장르를 장인어른 같은 분들도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게 뭘까 생각하게 됐고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룬다면 굉장히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형식이라고 여겼습니다.”
연 감독이 던진 주제의 내피는 ‘나라는 존재가 아니었다면 엄마의 인생은 어땠을까’다. 정이의 딸 서현(강수연)은 단 한 번의 작전 실패로 식물인간이 된 엄마가 35년간 캡슐에 있을 동안, 정이 프로젝트의 연구팀장이 됐다. 그는 자신의 수술비를 벌기 위해 전쟁통에 나선 엄마에 대한 죄책감과 연민으로 엄마의 명예를 지켜내려고 한다. 엄마를 닮은 A.I.에게 자유를 주는 방식으로. 연 감독은 SF 장르만이 할 수 있는 상상이자 질문이라고 생각했다.
“이 영화를 처음 기획을 했을 때 몇 가지 요소들이 있었어요. 그중의 하나가 고전적인 멜로 영화의 형식이었으면 좋겠다는 거죠. 신파 영화라고도 하잖아요. 애초 기획 자체가 ‘눈물 흘릴 수 있는 고전적 멜로에 SF가 가미되면 어떨까’ 였어요.”
연 감독이 정의한 ‘멜로’는 남녀 간의 이야기는 아니다. 그에게 멜로 감수성은 캐릭터 간의 감정을 많이 다루는 것. 실존하는 감옥에 갇혀버린 엄마와 나이 든 딸이라는 감정적 소재에서 출발한 것도 그런 이유다.
“엄마에게서 모성을 제거하려고 하는 자식의 입장은 모성이라는 것이 엄마를 실존하는 지옥에 갇히게 하는 거라고 여긴 거예요. 그걸 효심이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지만, 한 존재를 익히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생각해요. 단순하게 슬프다는 감정 외에 여러 결을 품을 수 있는 이야기죠.”
결국 ‘정이’는 서현의 사적인 이야기다. 이런 감정을 매개로 작품을 이끌어갈 배우가 중요했다. 그때 연 감독의 머릿속을 스쳐 지나간 배우가 강수연이었다. 강수연의 고전적이고 우아한 톤과 ‘정이’가 만나면 시너지가 날 거라고 생각했다.
“서현을 통해 정이라는 아이콘이 부여받았던 것들에서 모두 탈피되는 내용이잖아요. 후반 작업을 하면서 느낀 건 이 이야기가 강수연 선배의 이야기 같다는 거예요. 강수연 선배가 촬영 중에 많이 했던 말이 ‘4살 때 데뷔해서 배우로서 인생을 시작했다. 평범한 어린 시절이 없는 게 아쉽다’는 거거든요. 강수연 선배가 돌아가시고 나서는 내 필모그래피를 쌓는 영화가 아니라 운명 같은 영화가 됐어요.”
SF 주인공으로 배우 김현주를 떠올린 것도 의외다. 전작인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옥’을 함께 했던 영향이 컸다. 당시에도 김현주는 이전에 보여준 적 없던 액션신으로 화제를 모은 바 있다. 하지만 굉장히 오랜 트레이닝을 한 것에 비해 화면에 비친 게 적어 감독으로서 아쉬웠다.
“김현주와 현장에서 하는 것들이 원활하고 좋았어요. ‘정이’ 프로덕션이 너무 새로웠기 때문에 이전에 작업하지 않았던 배우들과 맞춰가는 과정에 여유가 없을 것 같았거든요. 그래서 가장 믿을 수 있는 배우들과 작업하고 싶었어요. 김현주가 정이 역 테스트를 했을 때 모습을 보고 확신이 들었어요. 처음에는 정이가 잘 안 그려졌는데 엄마이기도 하면서 전사이기도 한두 가지를 표현할 수 있는 배우가 김현주였어요.”
연 감독이 그린 22세기는 첨단화된 기술로 점철돼 있지만 향수를 자극하기도 한다. 무선 연결이 통용화된 현대와 상반되게 복잡한 전선도 많다. 해킹의 위험 등으로 인해 역으로 유선화되는 시대를 상상한 것이다. 이는 연 감독이 어릴 적 처음 본 SF 소설의 사이버 펑크 요소의 한 부분이다. 상상력의 빈곤을 느낄 때 예전에 좋아하던 것을 찾아보는 습성이 반영됐다.
“친구에게 작품이 공개되기 전에 보여줬는데 감독의 연식이 보인다고 하더라고요. SF를 많이 만들어낸 나라에서는 미니멀한 세트와 디자인의 영화가 많이 나오는 편이거든요. 그런데 유행과는 상관없이 제가 어렸을 때 좋아한 SF는 이런 룩이에요. 콘셉트 디자인을 하는 분이 거의 내 세대라 재밌게 할 수 있었어요.”(웃음)
또 하나의 ‘연니버스(연상호의 유니버스)’를 세상에 공개하는 것은 언제나 설레고 긴장되는 일이다. 창작자의 기발한 상상력과 대중의 공감대 사이의 간극이 항상 좁혀지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대중과 완벽하게 호흡할 수 있는 건 예술가에게 축복 같은 재능이다.
“늘 그런 재능을 같고 싶다고 생각해요. 만들 때마다 환호를 받는 게 얼마나 좋을까 싶죠. 그런데 작업을 하면서 인정할 부분에 대해서는 인정해야 해요. 내가 만드는 작품마다 완벽하게 호흡을 하는 축복은 나에게 존재하지 않는 것 같거든요. 그걸 인정하지 않으면 작업 과정이 즐겁지 않을 것 같아요. 지금까지 되게 아슬아슬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에 감사하고 있어요. 그 이상을 원한다면 많이 욕심이고요. 이 정도 작업을 하는 것에 감사합니다.”(웃음)
“‘정이’가 어떤 결과를 갖고 올지 모르겠어요. 이전에 호러나 공포, 스릴을 강조하는 영화를 많이 찍었다면 ‘정이’는 애초에 그런 게 아니었거든요. 호흡이 느리고 감정을 중요시했어요. 주변 많은 분들이 도와주셔서 이런 결과물이 나온 것 같아요. 관객들에게 닿았을 때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킬지 궁금하고 떨리는 마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