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김혜영기자]증권형 토큰(STO) 시장이 개화기를 맞았다. 정부가 시장 빗장을 풀자, 증권사들도 시장 선점에 분주한 모습이다. 증권사들은 STO 관련 서비스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증권형 토큰이란, 부동산, 음악 저작권, 미술품 등 실물자산에 기반을 두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토큰 형태로 발행한 증권을 뜻한다. 투자포인트는 모든 자산을 토큰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당국은 오는 2월 증권형 토큰 가이드라인 제시를 앞두고 있다. 지난 19일 금융위원회는 제 6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증권형 토큰 발행 및 유통 규율체계 안건을 의결했다. 사실상 증권형 토큰 허용을 예고한 상황인데, 자본시장 제도권 안에서 전면 허용되는 만큼 업계는 구체적인 내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존 STO는 샌드박스 신청과 인가를 통해서만 가능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전자증권법을 개정해 토큰 증권도 실물·전자 증권과 동일하게 실질적 권리관계 등을 인정한다는 방침이다. 즉, 증권형 토큰이 자본시장 제도권 안에서 전면 허용되는 만큼, 향후 투자자들의 재산권이 법적으로 안전하게 보호되고, 시장 성장 속도도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이다.
이에, 증권사들은 앞다퉈 시장 선점을 위한 채비에 나섰다. 새로운 먹거리 찾기에 분주한 증권사들이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 가능성을 점치며 환영하고 있는 것이다.
증권가는 단기적인 수익성이 아닌 시장 선점을 통해 디지털 경쟁력 기반 새로운 먹거리 발굴을 위한 전초전으로 풀이하고 있다. 증권사들은 추후 STO 플랫폼을 통한 거래 수수료 확보가 가능해 지고, 유동화가 쉽지 않은 자산이 토큰화가 되면 기존 기관투자자를 넘어 개인투자자의 중심의 자금 조달 수요 증가도 기대할 수 있다. 앞서, 5대 금융지주가 신년사에서 블록체인을 통한 신사업 발굴을 공통 키워드로 제시하는 등 시장 선점에 대한 의지는 뚜렷하다.
이에, 신한투자증권, KB증권, 키움증권 등이 STO 플랫폼 출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미 지난해 블록체인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찍고 조각투자, STO 서비스를 아우를 수 있는 종합플랫폼 사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디지털경쟁력 강화를 위해 블록체인부서를 신설하고 인원도 충원했다”며 “금융당국 가이드라인을 예의주시하며, 내부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증권형 토큰 발행과 거래(유통)를 하나의 플랫폼에 가능하게 할지 등 여러 시나리오별로 준비하고 있다”며 “블록체인 네트워크 설계 및 STO 플랫폼 성능 테스트 등을 오는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B증권 역시 디지털자산 사업추진단을 중심으로 시장 공략 고삐를 죄고 있다.
KB증권 관계자는 “관련 플랫폼 개발은 마무리 수순으로 금융당국의 세부 가이드라인이 나오면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내놓을 것”이라며 “올해 디지털자산 사업추진단을 필두로 서비스 출시 및 다양한 상품 등 STO 관련 사업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도 STO 사업 확장을 위한 협업에 나섰다,
키움증권은 한국정보인증·블록체인 전문기업 페어스퀘어랩과 손을 잡았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2월 초 나올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발맞춰 STO 관련 서비스 오픈을 준비하고 있다”며 “기존 리테일에 강점이 있는 만큼 예를 들어, 영웅문 등 기존 HTS와 연계해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또한, 디지털자산 중요성을 인지하고 올해 초 디지털자산 러서치팀을 발족했다"며 “디지털자산 리서치팀 인원 충원 등을 통해 시장 동향 및 트렌드 분석에 앞장 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2017~2018년 이더리움 가격 상승 등으로 ICO 관심 및 사례가 늘어났으나 법적 규제 공백 속 투자자 피해가 발생하자 이에 대한 규제가 언급되면서 관련 용어가 나오기 시작했다. 미국 내 대표적인 증권형 토큰 거래소는 INX 등이 있다./hyk@sea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