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년, 대기업·정부기관서 인턴 쉬워진다

고용부, 청년 고용서비스 혁신 방안

민관 인턴 확대…올해 8만명 일경험

구직자들이 작년 11월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청년취업박람회에서 채용 공고 현황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구직자들이 작년 11월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청년취업박람회에서 채용 공고 현황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앞으로 청년이 대기업과 정부기관에서 인턴 활동을 하기가 종전보다 쉬워질 전망이다. 대기업, 정부기관과 같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곳에서 일한 경험이 향후 구직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대책이다.



고용노동부는 27일 제1차 고용정책심의회에서 청년 고용서비스 혁신을 위한 지원정책을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관련기사



핵심 대책은 청년 일경험 지원사업 확대다. 작년 1만명을 지원했던 이 사업은 올해 지원 대상이 2만명으로 두 배 늘어난다. 같은 기간 예산도 50억원에서 553억원으로 10배 넘게 뛰었다. 올해 사업은 프로젝트 참여와 인턴십이 신설된다. 기존 단순한 기업 탐방으로는 청년이 일 경험을 쌓기 부족하다는 지적을 반영한 결과다. 대기업이 참여하는 청년친화형 기업 지원사업도 대상 인원이 3000명에서 5000명으로 증가한다.

공공기관도 일경험 확대에 참여한다. 올해 일경험 목표를 2만1000명으로 작년 보다 2000명 늘렸다. 중앙행정기관은 올해 2000명 인턴을 채용할 방침이다. 고용부는 일련의 사업을 통해 올해 청년 8만명 이상 일경험 프로그램을 참여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동안 인턴은 단순 업무가 많아 구직 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았다. 고용부는 이 지적을 반영해 민관 인턴 프로그램을 짜임새 있게 만든다는 계획이다. 민간 인턴은 과업 수행 지도를 위한 멘토제로 운영되고 공공부문도 정기적인 평가가 이뤄진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 주축으로 일경험 정책협의회가 신설된다. 중앙행정기관 인턴은 정책참여 기회까지 제공된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청년은 실무 경험을 가장 필요로 한다”며 “청년이 필요한 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