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임금체불이 주 원인…PF대주단 역할은 제한적"

[대조양건설發 PF 폭탄]

■ 저축銀중앙회 차원서 사태 주시

개별 은행도 자체 모니터링 진행


대우조선해양건설이 시공하는 일부 현장 공사가 중단되는 여파가 저축은행 등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우조선해양건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주단에 저축은행이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저축은행 업계에서도 예의 주시하는 모습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26일 “대우조선해양건설 PF 사업이 저축은행 업권에 미칠 영향 등과 관련해 현재 중앙회 차원에서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최근 부동산 PF 대출 정상화·연착륙을 위해 가동한 ‘부동산 PF 대출 협의회’가 이번에도 역할을 할지 파악 중이지만 대우조선해양건설 PF에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개별 저축은행들은 자체적으로 모니터링에 나서고 있다. 대우조선해양건설과 PF를 진행한 일부 저축은행은 내부적으로 태스크포스(TF) 팀을 꾸린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건설과 1건의 PF를 진행했다는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단순 시공사로만 참여해 다행히 주채무자가 아니며 자금 회수 등은 정상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라면서 “다만 관련 이슈는 계속 모니터링 중”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대우조선해양건설의 공사 중단 원인이 임금 체불인 만큼 대주주가 이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또 다른 PF 진행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건설은 김용빈 회장이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으며 모회사마저 유동성 위기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임금 체불 문제부터 해결해야 대주단이 대응책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PF 대출에 저축은행중앙회는 전국 79개 저축은행들이 모두 참여하는 협의회를 구성하고 자율 협약 체결 준비에 들어갔다. 현재까지 74개사가 참여를 확정했고 나머지 5곳도 동참을 앞두고 있다. 중앙회 관계자는 “협의회는 사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고자 구성된 것”이라며 “개인회생 절차에 들어가는 등 건설사 자체에서 문제가 생기면 협의회 차원에서 사후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저축은행이 들어간 사업장은 대부분 공정이 상당 부분 진행됐고 신탁사 보증도 들어가 있어서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김현진 기자·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