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빅데이터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케이뱅크가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자체 데이터센터(IDC)에서 운영하던 빅데이터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했다고 30일 밝혔다. 은행권에서 빅데이터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한 것은 케이뱅크가 처음이다.

관련기사



빅데이터 시스템은 금융 앱 사용 로그, 상담이력 대량 로그 등 금융사가 보유한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해 필요에 따라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고객관계관리(CRM), 개인 맞춤형 서비스 등에 사용된다. 케이뱅크는 고객이 빠르게 늘며 데이터 처리량이 급증하면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빅데이터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을 결정했다. 클라우드 방식은 필요한 자원을 원하는 만큼만 네트워크상에서 사용한다. 자원의 무제한에 가까운 사용이 가능해 비정형 데이터를 대량으로 분석할 때 신속하고 원활한 대응이 가능하다. 케이뱅크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개별 고객의 행동 패턴과 요구를 더 정확하게 반영한 앱 사용자환경을 제공할 방침이다. 신용평가의 신속성을 높이고 개인 맞춤형 신상품도 출시한다.

케이뱅크는 빅데이터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을 위해 ‘금융권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 규정을 모두 준수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 시스템을 중요시스템으로 신고를 완료해 개인 정보 비식별화 문제없이도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간 양방향 정보 수집 분석 및 활용이 가능하다. 차대산 케이뱅크 테크본부장은 “클라우드의 다양한 데이터 분석 서비스와 자유로운 컴퓨팅 자원을 동원해 케이뱅크의 데이터를 금융 혁신에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케이뱅크는 클라우드 기술을 통한 금융 서비스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